한국디자인진흥원
로그인
회원가입
뉴스레터
OpenAPI
사이트맵
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디비 인기검색어
뉴스
트렌드
보고서•통계
아카이브
권리보호
디자인네트워크
고객센터
국내 디자인뉴스
해외 디자인뉴스
공모전
전시•행사
채용정보
국내 디자인리포트
해외 디자인리포트
디자인 트렌드
4차산업혁명
디자인연구
성공사례 보고서
디자인산업통계
생활산업통계
한국디자인의 역사
한국디자인 DNA
한국디자인 모티브
전통문양
간행물
세미나영상
행사영상
디자인관련영상
디자인 법률자문
디자인과 법
국내 디자인전문기업
해외 디자인전문기업
컬러소재 전문기업
진흥기관
교육기관
학회
협회•단체
공지사항
FAQ
1:1 문의
광고문의
사이트소개
사이트운영정책
트렌드
뉴스
트렌드
보고서•통계
아카이브
권리보호
디자인네트워크
고객센터
국내 디자인 리포트
해외 디자인 리포트
디자인 트렌드
4차산업혁명
HOME
>
트렌드
>
디자인 리포트
해외 리포트
총 259건
현재페이지 6/26
검색
제목
내용
글쓴이
검색어
결과 내 재검색
전체보기
태국
호주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미국
브라질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싱가포르
영국
이탈리아
일본
중국
체코
프랑스
핀란드
홍콩
캐나다
전체보기
제품
시각
건축
인테리어
패션
공예
멀티/영상
종합
환경
기타
소셜트렌드
테크트렌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전망
페어
매거진
인터페이스
컬러/소재
조회수순
최신순
베틀로 짜는 선과 면_텍스타일 디자이너 티파니 로이Tiffany Loy
제품
,
패션
,
공예
2021.08.30
designforwhat
티파니 로이Tiffany Loy는 싱가포르의 텍스타일 디자인 영역에서 빼놓을 수 없는 디자이너이다. 싱가포르 국립대학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고, 일본 교토에서 전통적인 방식의 텍스타일 직조를 공부한 그는 최근에 싱가포르 정부 장학생으로 영국의 RCA 대학원 텍스타일 디자인 과정을 마쳤다. 티파니의 손을 거친 작업물은 색상, 구조, 섬유의 탄성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거쳐 만들어지기 때문에 독특하고, 사용자 손 끝의 감각을 자극한다. 지난 글에서는 점과 선이 느...
베틀로 짜는 점과 선_텍스타일 디자이너 티파니 로이Tiffany Loy
제품
,
패션
,
공예
2021.07.25
designforwhat
싱가포르의 텍스타일 디자이너 티파니 로이Tiffany Loy 티파니 로이Tiffany Loy는 싱가포르의 텍스타일 디자인 영역에서 빼놓을 수 없는 디자이너이다. 싱가포르 국립대학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고, 일본 교토에서 전통적인 방식의 텍스타일 직조를 공부한 그는 최근에 싱가포르 정부 장학생으로 영국의 RCA 대학원 텍스타일 디자인 과정을 마쳤다. 티파니의 손을 거친 작업물은 색상, 구조, 섬유의 탄성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거쳐 만들어지기 때문에 독특하고, 사...
전시 디자인 경험을 망치는 7가지 디자인 실수
시각
,
기타
2021.07.25
designforwhat
싱가포르 디자이너 켈리 쳉Kelley Cheng이 전하는 ‘전시 디자인 경험을 망치는 7가지 디자인 실수’ /@The Press Room 전시디자인은 방문객의 마음이 흐르고 머무르는 스토리를 제공해야 하기에 더욱 명료한 커뮤니케이션이 기대되는 디자인의 영역이다. 이번 글은 싱가포르의 건축, 디자인, 출판을 아우르는 다양한 영역에서 업적을 인정받아, 최근 싱가포르 대통령 배 디자인 어워드(President*s Design Award Singapore)를 수상한 디자인 컨설턴시 프레스 룸The Press Room의 대표, 켈리 쳉...
웨이파인딩(Wayfinding) 경험을 망치는 13가지 실수
종합
,
기타
,
페어
2021.06.11
designforwhat
싱가포르 디자이너 켈리 쳉Kelley Cheng이 전하는 ‘웨이파인딩(Wayfinding) 경험을 망치는 13가지 디자인 실수’ /@The Press Room 프레스 룸The Press Room 스튜디오의 대표, 켈리 쳉Kelley Cheng /@Sarah Choo 웨이파인딩(Wayfinding: 공간 안에서의 직관적 길 찾기)은 몸이 향할 지표를 제공해야 하기에 더욱 명료한 커뮤니케이션이 기대되는 디자인의 영역이다. 이번 글은 싱가포르의 건축, 디자인, 출판, 영상을 아우르는 다양한 영역에서 지난 20여 년간 업적을 남긴 디자인 ...
Z세대를 위한 윤리적인 디지털 패션, 리퍼블리크Republiqe
패션
,
멀티/영상
,
환경
,
소셜트렌드
,
테크트렌드
,
트렌드전망
2021.06.11
designforwhat
윤리적인 디지털 패션을 추구하는 리퍼블리크Republiqe /@Republiqe ‘옷’은 많지만, ‘입을 옷’은 항상 부족하다. 전자의 옷이 의복의 신체 보호 기능에 집중하고 있다면, 후자의 옷은 의복의 자기표현 기능에 더욱 무게가 실려있다. 대부분의 싱가포르 사람들이 자택에서 원격 근무를 하고 있는 팬데믹 기간에 다양한 디자인의 라운지웨어 판매는 오히려 급증했다. 집 안에서도 실시간으로 카메라를 켜고, 화상 회의를 하게 된 상황에서 목이 늘어난 티셔츠를 입을 수는 없으니까. 암울한 ...
뉴 노멀 시대의 업무 방식과 사무 공간 디자인에 관하여
시각
,
건축
,
인테리어
,
멀티/영상
,
종합
,
기타
2021.05.24
designforwhat
‘The Office, Disrupted: Redesigning the Workplace in a Time of Change(엉망이 된 사무실: 변화의 시기에 업무공간 다시 디자인하기)' / @designforwhat 뉴 노멀 시대가 되면서, 기존의 사무 공간과 업무 방식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꽤나 안정적이라고 생각했던 싱가포르의 Covid-19 상황이 5월부터 불안정해지고, 싱가포르에서는 현장직이 아닌 사람 대부분 재택근무를 고수하고 있다. 그동안 거주인의 사적인 역할에만 충실하도록 만들어진 집에서 공적인 활동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넥스트 노멀, 더 나은 사무 공간 디자인
제품
,
인테리어
,
라이프스타일
2021.05.24
designforwhat
뉴 노멀 시대가 되면서, 기존의 사무 공간과 업무 방식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꽤나 안정적이라고 생각했던 싱가포르의 Covid-19 상황이 5월부터 불안정해지고, 싱가포르에서는 현장직이 아닌 사람 대부분 재택근무를 고수하고 있다. 그동안 거주인의 사적인 역할에만 충실하도록 만들어진 집에서 공적인 활동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라이프스타일과 공간을 새롭게 조율하는 수고로움이 따른다. 싱가포르 국립 디자인센터에서는 뉴 노멀 시대에 급변하고 있는 라이프스타일과 산업동향을 다층적으로 ...
더 나은 식품 포장을 위한 다층적 협업
제품
,
시각
,
환경
,
기타
,
라이프스타일
,
트렌드전망
2021.04.29
designforwhat
아시아의 식품 패키지 중, 굿 디자인을 모은 포스터. 일반적인 포장용 상자의 전개도 레이아웃을 갖추고 있다. 이미지@DesignSingapore, FARM 쓰레기 문제는 전 지구적으로 심각하지만, 싱가포르는 유독 심각하다. 왜냐하면, 나라 안에 단 한 군데 있는 쓰레기 매립지 (Semakau Landfill)가 2030년이면 사용 한계치를 초과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그 기한을 2035년까지 늦추려고, 고체 폐기물의 절반 가량은 태우고, 그 과정에서 미량의 전기를 발전시킨다. 싱가포르에서도 분리수거를 하지만, ...
구리로 만든 가정용 항균 벤치, 웨이브Wave
제품
,
건축
,
인테리어
,
라이프스타일
2021.04.14
designforwhat
란자베치아+웨이Lanzavecchia + Wai가 데 카스텔리De Castelli를 위해 디자인한 구리 벤치 / @Alberto Parisse 싱가포르의 산업디자인 듀오 란자베치아+웨이 Lanzavecchia + Wai는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가구 브랜드 데 카스텔리De Castelli를 위해 구리 소재의 벤치를 디자인했다. 대부분의 벤치는 공공장소에서 사용하지만, 란자베치아+웨이가 디자인한 벤치는 가정용으로 만들어졌다. Covid-19 사태가 길어지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그저 취침 장소였던 집이 이제는 주거를 넘어선 업무 및 레저...
파인애플 잎사귀와 코코넛 껍질로 섬유를
패션
,
환경
,
소셜트렌드
,
트렌드전망
2021.03.30
designforwhat
동남아시아는 남아메리카와 더불어 열대과일 최대 생산지이다.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매일 수 천 톤의 파인애플, 수 백 만개의 코코넛을 수확해서 공장에 보내고, 남은 파인애플 잎사귀와 줄기는 땅에 묻거나, 비료로 만든다. 태우거나, 강에 폐기하는 경우도 빈번한데, 그럴 경우 공기 오염과 수로가 막히는 원인이 된다. 싱가포르의 넥스테보Nextevo는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에서 버려지는 파인애플 부산물에서 팔프PALF라고 불리우는 섬유질을 추출하여, 다양한 원사와 직물을 개발한다. 더불어, 코코...
<<
<
2
3
4
5
6
7
8
9
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