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자인진흥원
로그인
회원가입
뉴스레터
OpenAPI
사이트맵
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디비 인기검색어
뉴스
트렌드
보고서•통계
아카이브
권리보호
디자인네트워크
고객센터
국내 디자인뉴스
해외 디자인뉴스
공모전
전시•행사
채용정보
국내 디자인리포트
해외 디자인리포트
디자인 트렌드
4차산업혁명
디자인연구
성공사례 보고서
디자인산업통계
생활산업통계
한국디자인의 역사
한국디자인 DNA
한국디자인 모티브
전통문양
간행물
세미나영상
행사영상
디자인관련영상
디자인 법률자문
디자인과 법
국내 디자인전문기업
해외 디자인전문기업
컬러소재 전문기업
진흥기관
교육기관
학회
협회•단체
공지사항
FAQ
1:1 문의
광고문의
사이트소개
사이트운영정책
보고서•통계
뉴스
트렌드
보고서•통계
아카이브
권리보호
디자인네트워크
고객센터
디자인 연구
성공사례 보고서
디자인산업통계
생활산업통계
HOME
>
보고서
>
디자인 연구
디자인 연구
디자인DB가 추천하는 키워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 TOP20
서비스디자인 사례
안전디자인
디자인정책
총 61건
현재페이지 1/7
검색
제목
내용
글쓴이
검색어
결과 내 재검색
전체보기
제품
시각
건축
인테리어
패션
공예
멀티/영상
종합
환경
기타
소셜트렌드
테크트렌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전망
페어
매거진
인터페이스
컬러/소재
조회수순
최신순
서울시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고도화_데이케어센터 - 서울특별시, 2020
종합
,
라이프스타일
2023.05.17
admin
서울시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고도화 데이케어센터 서울특별시, 2020 출처 : 서울특별시 유니버설디자인센터 원문 : ebook.seoul.go.kr/Viewer/C8DQY9U1RHRG 연구진 : 서울특별시 문화본부장 유연식 디자인정책과장 박숙희 공공디자인사업팀장 강효진 담당자 박상민, 박병규 한국복지환경디자인연구소 책임연구원 전미자 공동연구원 김은정 연구보조원 주한나, 신성영 연구 배경 서울시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개발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올 통해 신체, 행동,...
서울시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고도화_종합사회복지관 - 서울특별시, 2020
종합
,
라이프스타일
2023.05.16
admin
서울시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고도화 종합사회복지관 서울특별시, 2020 출처 : 서울특별시 유니버설디자인센터 원문 : ebook.seoul.go.kr/Viewer/1CJI40GI4QE1 연구진 : 서울특별시 문화본부장 유연식 디자인정책과장 이혜영 유니버설디자인사업팀장 송한비 담당자 박병규 한국복지환경디자인연구소 책임연구원 전미자 공동연구원 김창식, 김은정 연구보조원 임해원 연구 배경 서울시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개발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올 통해 신체, 행동, 상황별...
디자인이 궁금해 : 디자인산업과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 - 한국디자인진흥원, 2022
종합
2022.09.18
admin
디자인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조망합니다. 디자인산업의 특징, 디자인 수요시장과 디자인서비스 공급자의 사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한국디자인진흥원에 주어진 과제, 디자인산업이 해결해가야 할 과제는 무엇이고, 코로나19 이후 디자인산업 육성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지 생각해봅니다. 우리나라 디자인산업 육성 정책을 담당하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역할과 사업을 중심으로 디자인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전망하는 데 도움이 될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한국디자인진흥원 직원 교육용 교...
디지털 시대 디자인 권리보호 및 공정거래 유도방안 연구
제품
,
시각
,
건축
,
인테리어
,
패션
,
공예
,
멀티/영상
,
종합
,
환경
,
기타
2021.12.30
kidpman
디지털 시대 디자인 권리보호 및 공정거래 유도방안 연구 제출일 : 2021.10.20. 주관기관 : 한국디자인진흥원 기획조정실 법무팀 수행기관 : (주)현대전략연구소 목적 : 최근 대두되는 디자인 온라인 거래 플랫폼 등 디지털 시대에 따른 새로운 디자인 거래 형태의 성숙화 · 활성화를 위한 기반 마련 연구 □ 연구내용 ㅇ (개요) 법·제도의 정비와 활용을 통해 디자인 중개거래 사업자와 공급자인 디자이너 간 공정한 거래환경이 조성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 ㅇ 국내 全산업 온라인플랫폼 ...
4차 산업혁명 디자인전문기업 성장방안 연구 -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 2021
기타
2021.12.29
hanjiyoung
연구주관기관 : 한국디자인진흥원 연구수행기관 : (사)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 연구추진배경 : 시장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외주용역 위주의 사업구조로 인해 다양하고 고도화된 디자인(제조·서비스) 비즈니스가 필요하다. 일부 분야에 국한하지 않고 全 분야의 디자인전문기업이 자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시점이다.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등 플랫폼-AI주문형 디지털디자인 시장 활성화를 통한 디자인 비즈니스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해외 플랫폼 기업의 국내 시장진출에 따른 ...
디자인 주도의 지속가능형 지역균형발전모델 및 정책사업화 연구
기타
2021.12.29
hanjiyoung
[목차] Ⅰ 추진배경 및 필요성 1 Ⅱ 국내 지역균형발전정책 및 주요 사업 분석 7 1. 지역균형발전 정책 9 가.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 9 나. 한국판 뉴딜 및 지역균형 뉴딜 정책 11 다.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분석 18 라. 시사점 23 2. 균특회계 지역지원계정 사업 현황 및 특징 24 가. 분석 개요 24 나. 분석 대상 26 다. 산업부 지역균형발전사업(균특, 지원) 32 라. 중기부 지역균형발전사업(균특, 지원) 57 3. 디자인 주...
한국디자인진흥원 50년 원사 (1970년~2020년)
종합
2021.05.29
kidpman
한국디자인진흥원 50년사를 소개합니다. 한국디자인진흥원을 설립(1970)하고 디자인 진흥을 위한 법을 마련(산업디자인진흥법, 1977)하는 등 정부가 디자인 육성 정책을 추진한 지 만 50년이 되었습니다. 1970년 이후 정부가 국가 발전을 위해 디자인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추진 체계로 한국디자인진흥원(당시 한국디자인포장센터)을 설립한 후 지금까지 디자인 산업 육성 정책을 펼쳐오고 있습니다. 50년간 디자인 산업 육성 정책을 주도해왔던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여정을 돌아보고 앞으로 나타날 사...
「산업디자인진흥법」 체계 개선 및 개정을 위한 법제 연구
기타
2021.05.18
kwangil
제출일 : 2021.2.25. 연구주관기관 : 한국디자인진흥원 연구수행기관 : 한국법제연구원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부분 중 발췌) 국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한 「산업디자인진흥법」 법체계의 개편 필요성 디자인 분야는 개별 기업과 전체 산업은 물론 국가경쟁력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부가가치가 큰 영역으로서 디자인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산업 전반과의 밀접한 연계성을 제고하기 위한 법제도적 기반의 구축이 필수적임 「산업디자인진흥법」은 디자인 분야의 대표적인 진흥법으로서 ...
(논문) 코로나19 이후 디자인산업 육성 정책의 복합적 과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2021. 윤성원. 한국...
종합
2021.03.30
admin
코로나19 이후 디자인산업 육성 정책의 복합적 과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윤성원 * *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인혁신실 실장 A Study of the Complex Challenges and Development of Design Industry Promotion Policies after Covid-19 Yoon, Seong Won * * Head, Design Innovation Division,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 Corresponding Author : Yoon, Seong Won design@naver.com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Vo...
서울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2020 - 서울특별시, 2021
종합
,
환경
2021.03.30
admin
서울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2020 SEOUL PUBLIC DESIGN GUIDELINE 서울특별시, 2021 목차 Intro 가이드라인 개요 Part A 공공공간 가이드라인 Part B 공공시설물 가이드라인 Part C 공공시각매체 가이드라인 과업명 : 서울시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수립용역 과업의 목적 최초 수립(2008년)된 가이드라인에 대하여 사회, 정책, 기술 등 다양한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고, 서울의 정책 방향과 목표에 맞는 비전, 목표, 원칙 등의 업그레이드 과업 범위 1. 공공디자인 정책 및...
<<
<
1
2
3
4
5
6
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