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안심디자인 가이드라인(1권 개론, 2권 시범사업, 3권 시방서) - 서울특별시 이음파트너스, 2020
생활안심디자인 가이드라인
1권 개론, 2권 시범사업, 3권 시방서
서울특별시 이음파트너스, 2020
출처: 서울특별시
원문: news.seoul.go.kr/culture/archives/513202
발행일 : 2020년
발행인 : 문화본부장 유연식, 디자인 정책과장 이혜영
기획개발 : 공공디자인사업팀장 강효진, 담당주무관 권은선
발행처 : 서울특별시
연구진 : (주)이음파트너스 안장원, 이연지
자문 감수 : 경찰대학교 한민경 교수
디자인 : 그래픽바이러스
ISBN : 979-11-6599-288-0
연구 목적
도시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을 본질적으로 좌우하는 것은 각종 문화시설 등 어메니티가 아니라 범죄에 대한 불안감, 주거 취약성 등과 같이 일상에서 마주하는 문제들이다. 시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적극적인 정책을 모색하는 도시가 진정 삶의 질이 높은, 경쟁력을 갖춘 도시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서울시는 범죄, 고령화, 양극화, 자살, 환경, 인권 등 절실한 사회적 문제에 대해 디자인의 쓰임을 구체화하는 생활 안심 디자인 프로젝트를 계획하였다. 2012년 마포구 염리동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사업을 본격화하였고 현재(2019년)까지 7년간 총 66개소를 조성하여 다양한 프로타입을 개발, 적용하였다. 이제 그간의 결과물을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적용하도록 생활안심디자인의 사례와 노하우를 이 책에 담아, 보다 많은 지역에서 확산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구 배경
서울시는 취약지역(시설)을 대상으로 디자인을 통해 범죄를 사전에 차단하는 생활안심디자인 추진 사업을 시행하여 취약계층을 보호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추진하였다. 서울시는 기존의 톱다운(Top-down) 운영방식이 아니라 보텀업(Bottom-up) 운영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운영하였다. 실제적인 사용자가 생활 속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직접 참여하게끔 하여 시민과 함께하는 디자인을 추구하였다.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사용자의 참여를 통해 생활과 환경을 개선하고, 작지만 감동이 있는 디자인이 본 프로젝트의 추진배경으로 작용하였다.
목차
1. 개요
1.1. 가이드라인의 목적과 필요성
1.2. 가이드라인의 효과성
1.3. 가이드라인 구성 및 활용방법
2. 생활안심디자인의 필요성
2.1. 생활안심디자인의 배경과 개념
3. 생활안심디자인 진행 프로세스
3.1. 생활안심디자인 진행 프로세스
3.1.1. 발견하기
3.1.2. 정의하기
3.1.3. 발전하기
3.1.4. 전달하기
#안전디자인 #범죄예방디자인 #생활안심디자인
#사회문제해결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 #포용디자인 #공공디자인 #고령화사회 #고령사회 #초고령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