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공공서비스디자인 우수사례 (행정안전부 장관상, 우수상)
이주민(移주민) 이주민(里주민) 되다
전남 영암군
꾸준히 증가하는 이주민의 안정적인 정착을 통한 지역소멸과 인구감소 문제 해결, 지역사회 소외감 동시 해소를 통한 사회적 통합을 실현하고자 국민디자인단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1. 국민디자인단 구성
서비스디자이너 : 김지우
공무원 : 황의송, 장윤영, 박혜은
국민참여자 : 김차현, 리올가, 이향국, 남유하, 조혜영
2. 추진배경
○ 영암군, 전남 22개 시군 중 이주민 최다 거주
- 영암군 이주민 9,688명 거주 (΄24. 9. 기준) * 영암군민 5만2천여명
- 비자 제도 개선으로 이주민 증가 추세 (4년간 2,600여명 증)
○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 및 지역소멸 대응
3. 진짜문제
○ (데스크 리서치) 이주민 관련 주제 리서치 및 조사 목표 설정

○ (이해관계자 맵) 이해관계 시각화 및 인터뷰 대상 선정

○ (심층 인터뷰) 정책 수요자의 불편함 니즈 현장 조사
- 추진중인 지원사업에 대해 알지 못해 신청하지 못하는 이주민 多
- 문화적 욕구 실현 방법(관내 명소 관광, 공간 대여 등)을 모르는 이주민 多

○ (친화도 맵) 정책 수요자 공급자 인터뷰 결과 조직화
- 문제 정의 1. 필요한 정보의 진입장벽 존재
- 문제 정의 2. 이주민의 문화적 욕구 실현 한계 발생

- 질문 던지기 1. 어떻게 하면 정보의 접근성을 낮출 수 있을까?
- 질문 던지기 2. 어떻게 하면 이주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실현할 수 있을까?

4. 서비스 목표 수립
○ 정보 접근성 제고 및 쉽게 이용 가능한 정보제공 방안 고려
○ 이주민의 문화적 욕구 실현 지원 등 지속가능하고 수요자의 만족도가 직접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서비스 위주 발굴
○ (페르소나) 가상의 인물 설정을 통한 서비스 목표 재점검

5. 결과물
○ 이주민 커뮤니케이터 랩 프로토타입 추진
- 이주민 커뮤니케이터란?: 영암군과 영암에 거주하는 이주민의 가교역할을 수행할 이주민
- (주요내용) 이주민 지원사업 정보 전달, 영암군 명소 축제 소개, 대중교통 사용법, 공간대여 방법 등 일상생활 영위를 위한 관내 기본 정보 안내

○ 이주생활 가이드북 프로토타입 추진
- 이주생활 가이드북이란?: 이주민의 모국어로 안내되는 이주 생애주기나 정착기별로 필요한 지원사업이 정리된 한 페이지 가이드 (픽토그램 활용)
- (주요내용) 이주 정착기별 필요한 지원사업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확인 가능한 언어별 가이드북 제작

6. 기대효과
○ 과제 인식 변화 (이주민 문화해설사 ⇒ 이주민 커뮤니케이터)
- 문화 욕구 해소 서비스 개발 중 역할 추가를 통한 과제 인식 변화
○ 기관 협업‧예산 확보를 통한 과제추진 실효성 확보
- (기관 협업) 기관 간 정보 교환 및 역할 부여를 통한 과제 추진 체계 확립
- (예산확보) ΄24년 총 사업비 4,000천원 확보를 통한 사업 추진
○ 이주민 커뮤니케이터 역량 강화 교육 추진
○ 이주민의 능동적인 지역 내 삶 기반 조성
- 이주민의 지역 소속감 증대 및 능동적이며 주체적인 참여 기대
7. 공공서비스디자인 활동 전·후 비교
#국민디자인단 #공공서비스디자인 #정책디자인 #서비스디자인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