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 CEVS 제도 강화해 2018년 1월부로 도입 -
- 저공해차량 수요 증가 전망 -
□ 2018년 1월부로 차량 배출가스 제도(Vehicle Emission Scheme, VES) 도입
ㅇ VES, 기존 Carbon Emission-based Vehicle Scheme(CEVS) 대체
- 오염물질 배출 정도에 따라 환급(rebate) 또는 과징금(surcharge)을 부과하는 제도로 모든 신차, 중고차, 택시 차량에 적용됨.
- 2013년에 도입됐던 기존 CEVS 제도는 이산화탄소(CO2) 배출량만 고려했으나 신규 도입된 VES 제도에는 탄화수소(HC), 일산화탄소(CO), 산화질소(NOX), 미세먼지(PM) 등 4가지 오염물질이 추가됨.
- 오염물질 배출량에 따라 5개의 구간(Bands)으로 나뉘는데, 이는 5가지 오염물질 중 배출량이 가장 많은 물질을 기준으로 책정됨.
- 기존 CEVS에서 9개로 나뉘어져 있던 범위 구간(Bands)이 5개로 축소되면서 환급·과징금 최대치는 줄어들었으나 기준이 더욱 엄격해짐. 예를 들어, 차량의 CO2 배출량이 200g/km인 경우 기존 CEVS 제도 하에서는 과징금이 5000싱가포르 달러였으나 신규 VES 제도 하에서는 2만 싱가포르 달러임.
- 전기자동차(EV) 및 배터리식 전기자동차(PHEV)의 경우 화석연료를 이용한 전기생산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유엔 유럽경제위원회(UNECE) Regulation No.1의 기준에 따라 측정해 부과함.
- 택시는 일반차량보다 주행거리가 수준이 더 높으므로, 택시회사들이 저공해차량을 택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환급·과징금을 50% 더 높게 책정함.
Vehicle Emission Scheme(VES)

자료원: LTA
Carbon Emission-based Vehicle Scheme(CEVS)

자료원: LTA
ㅇ VES 환급·과징금은 차량등록세에서 공제·추징됨.
차량등록세
구분 | 상세 내용 |
기본등록세(Registration Fee, RF) | 220싱가포르 달러 |
추가등록세 (Additional Registration Fee, ARF) | 차량 가격에 따라 책정 Vehicle OMV(Open Market Value) | ARF Rate | First S$ 20,000 | 100% | Next S$ 30,000(i.e. S$ 20,001 to S$ 50,000) | 140% | Above S$ 50,000 | 180% | (예: 차량가격이 S$ 75,000일 경우 총 S$ 107,000) Vehicle OMV | ARF Rate | ARF Payable | First S$ 20,000 | 100% | S$ 20,000 | Next S$ 30,000 | 140% | S$ 42,000 | Above S$ 50,000 | 180% | S$ 45,000 | |
ㅇ 연비 라벨제도(Fuel Economy Labelling Scheme) 개정
- VES 도입과 함께 자동차 모델별 오염물질 배출량 및 이에 따른 Band 정보가 나타나도록 연비 라벨이 새롭게 디자인됨.
- 자동차 구매 희망자들이 현명한 구매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자동차 전시판매장에서는 해당 라벨을 부착해야 함.
연비 라벨 샘플

자료원: LTA
□ 차량 배출가스제도(VES) 도입 배경
ㅇ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싱가포르 정부
- 천연자원이 전무한 도시국가인 싱가포르는 일찍이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확보를 위해 노력해왔으며, 2014년 말에는 싱가포르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2030년까지의 장기 전략안인 Sustainable Singapore Blueprint 2015(SSB 2015)를 수립해 추진하고 있음.
- 또한 파리기후변화협정(Paris Climate Change Accord)에 의거,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05년 수준의 35%까지 감축해야 함.
- 이에 싱가포르 정부는 친환경 인증 강화, 수도세 인상, 에너지 보존법(ECA) 강화, 탄소세 도입(예정), 포장 폐기물 감축안 도입(예정) 등 지속가능성 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ㅇ VES 정기적으로 검토 예정
- 싱가포르 정부는 VES가 소비자들의 자동차 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자동차 기술 발전 동향, 기후변화 및 공기오염에 대한 싱가포르의 대응 전략 진행 현황 등을 고려해 VES를 정기적으로 검토할 예정임.
싱가포르 대기질 목표
오염물질(Pollutant) | 싱가포르 2020년 목표(Singapore Targets by 2020) | 장기 목표(Long Term Targets) |
아황산가스 (Sulphur Dioxide, SO2) | Annual mean: 15μg/㎥ (Sustainable Singapore Blueprint target) 24-hour mean: 50μg/㎥(WHO Interim Target) | 24-hour mean: 20μg/㎥ (WHO Final) |
초미세먼지 (Particulate Matter, PM2.5) | Annual mean: 12μg/㎥ (Sustainable Singapore Blueprint target) 24-hour mean*: 37.5μg/㎥(WHO Interim Target) | Annual mean: 10μg/㎥ (WHO Final) 24-hour mean*: 25μg/㎥ (WHO Final) |
미세먼지 (Particulate Matter, PM10) | Annual mean: 20μg/㎥(WHO Final) 24-hour mean*: 50μg/㎥(WHO Final) |
오존 (Ozone) | 8-hour mean**: 100μg/㎥(WHO Final) |
이산화질소 (Nitrogen Dioxide, NO2) | Annual mean: 40μg/㎥(WHO Final) 1-hour mean: 200μg/㎥(WHO Final) |
일산화탄소 (Carbon Monoxide, CO) | 8-hour mean: 10μg/㎥(WHO Final) 1-hour mean: 30μg/㎥(WHO Final) |
주*: 99th Percentile
주**: Daily Maximum
자료원: LTA
□ 전망 및 시사점
ㅇ 오염물질 과다 배출 차량 사실상 퇴출
- VES에 의거 오염물질 배출 수준이 높은 차량의 경우 구매 시 소비자들은 1만~3만 싱가포르 달러(약 800만~2400만 원)를 더 지불해야 함.
- 이에 대한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오염물질 과다 배출 차량은 사실상 싱가포르 시장에서 퇴출될 것으로 보임.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 저공해차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전망
ㅇ 싱가포르 정부, 대중교통 시스템 확대 및 개선 노력 지속
- 개인차량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만큼 싱가포르 정부는 대중교통 시스템을 확대 및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보이고 있음.
- 현재 지하철의 경우, North East 노선 확장(2023년 완공 예정), Downtown 노선 확장(2024년 완공 예정), Circle 노선 확장(2025년 완공 예정), Thomson-East Coast 노선 신규 개발(2019년부터 단계적 오픈 예정), Jurong Region 노선 신규 개발(2025년 완공 예정), Cross Island 노선(2030년 완공 예정) 등의 프로젝트가 진행 및 계획되고 있음.
- 우리 기업들은 이러한 대중교통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 기회를 예의주시할 필요 있음.
- 또한 육상교통청(LTA)은 육상교통 시스템 개선 연구에 대한 지원 계획을 발표함. 이동시간 단축, 대중교통 서비스 최적화, 도로 공간 축소 및 환원, 토양대량굴착 측정 정확도 개선 등 4가지 분야로 이루어져 있음. 관심 있는 관련 기업 및 기관은 2월 21일까지 LTA로 제안서를 제출하면 됨.
육상교통 시스템 개선 연구 모집 분야
연번 | 분야 | 내용 |
1 | 이동시간 단축 (Reducing transport journey time) | - 데이터 분석을 통한 현 문제점 파악 및 새로운 솔루션 제안 (예: 버스 승하차 소요 시간 단축을 위한 새로운 티깃팅 기술, 버스 우선적 차선 시스템 등) |
2 | 대중교통 서비스 최적화 (Optimising public transport services) | - 대중교통 수요(특히 혼잡 시간대) 충족을 위한 새로운 방안 모색 (예: 버스 운행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분석) |
3 | 도로 공간 축소 및 환원 (Reducing and reclaiming road spaces) | - 현 도로 사용 문제점 파악 및 활용성 개선 방안 제안 |
4 | 토양대량굴착 측정 정확도 개선 (Improving the accuracy of measuring bulk excavations of soil) | - 지하공사 시행 전 진행되는 토양대량굴착에 대한 용량 분석 개선 방안 제안 - 데이터 분석을 위한 공사 현장 3D 모델 제공 |
자료원: LTA
자료원: The Straits Times, Business Times, 싱가포르 교통부(MOT), 싱가포르 육상교통청(LTA),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