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해외 디자인 뉴스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전통에서 트렌드로, 파라과이 텀블러의 시장의 변화

파라과이는 전통적으로 텀블러 사용이 일상화된 국가 중 하나다여름 기간에 31도 이상의 고온 일수가 빈번한 극심한 더위 속에서국민들은 오랜 세대에 걸쳐 전통 차인 테레레(Tereré)’를 마시기 위해 차가운 물을 담는 일반적인 물통을 사용해왔다테레레는 마테 차(Yerba Mate)를 차가운 물에 우려내 마시는 음료로더운 기후 속에서 체온을 낮추는 효과적인 수단이며아침부터 낮 시간까지 친구나 가족과 함께 나눠 마시는 국민 음료라고 볼 수 있다.

 

시대의 변화와 함께 전통적인 물통 대신 보온·보냉 기능이 강화된 현대적인 텀블러가 등장했으며 테레레를 위한 전용 텀블러는 단순한 생활 도구를 넘어 파라과이의 독특한 문화로 자리 잡았다현재 파라과이의 주요 쇼핑몰슈퍼마켓온라인 마켓플레이스 등에서는 다양한 텀블러를 쉽게 구매할 수 있으며테레레에 특화된 텀블러도 판매되고 있다이처럼 테레레 문화와 글로벌 텀블러 트렌드가 결합하면서파라과이에서는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텀블러 문화가 형성되고 있다.

 

<파라과이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텀블러 사용 문>

주: 사진에 대한 사용승인 받음 

[자료: Imperio del Tereré]

 

'스탠리' '하이드레이트' 브랜드 인기, 최대 텀블러 수입국은 중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텀블러 트렌드가 파라과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특히 스탠리(Stanley) 텀블러는 2022년부터 2023년 사이 본격적으로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뛰어난 보온·보냉 기능과 내구성 덕분에 실용성이 돋보였으며다양한 색상과 세련된 디자인이 젊은 층의 취향을 사로잡았다또한대용량이라는 실용적인 특징이 주목받았고틱톡(TikTok)과 같은 SNS에서 인플루언서와 유명인들의 사용이 입소문을 타면서 빠르게 확산됐다이러한 이유로 스탠리 텀블러는 파라과이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고실용성과 트렌디함을 동시에 갖춘 점이 성공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외에도 파라과이에서는 다양한 텀블러 브랜드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여러 브랜드 중, 하이드레이트(Hydrate)’는 대표적인 현지 브랜드로 주목받고 있다이 브랜드는 알레한드로 카로사(Alejandro Carrizosa) 대표와 두 명의 친구가 함께 설립한 파라과이의 보냉보온 음료용기 제품 브랜드다하이드레이트는 더운 날씨와 추운 날씨 모두에 적합한 제품을 제공하며플라스틱 사용 문제 해결을 목표로 지속 가능성을 목표로 하는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파라과이 내 이런 텀블러 트렌드는 젊은 세대의 큰 호응을 얻으며파라과이 텀블러 시장의 성장과 판매 확대를 이끌고 있다.

 

<소비자 취향을 반영한 텀블러 제품의 다양>

[자료: Hydrate 홈페이지]

 

파라과이에서 과거 텀블러는 테레레 중심으로 사용됐으나 이제는 물을 포함한 다양한 음료를 담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음료 용기를 넘어 실용성과 개성을 표현하는 라이프스타일 아이템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글로벌 브랜드의 영향력과 변화하는 소비 패턴은 파라과이 텀블러 시장의 고급화 및 브랜드화를 촉진하고 있다특히 젊은 세대는 텀블러를 패션 아이템이나 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선택으로 인식하고 있다KOTRA 아순시온 무역관이 인터뷰한 Impacto Store 매장 관계자들은 "파라과이 텀블러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며다른 글로벌 브랜드의 현지진출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관계자들은 "현지 제조업체와 유통업체는 증가하는 소비자 니즈에 대응하기 위해 제품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양한 텀블러가 진열된 현지 매장 전경>

[자료: KOTRA 아순시온무역관 직접 촬영]

 

Penta Transaction 통계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4 10월까지의 텀블러 주요 수입대상국에는 중국브라질홍콩미국인도한국 등이 포함됐다특히한국은 2021년에 수입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이후 감소세를 보였고, 2023년에는 수입 실적이 없다. 2023년 기준으로는 중국이 전체 수입 비중의 86.9%를 차지하며 주요 수입국으로 나타났다.

  

 <최근 4년간 국가별 텀블러 수입 동향 (HS Code: 9617.00)>

(단위: US$ , %)

국가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10월)*

수입금액

증감률

수입금액

증감률

수입금액

증감률

수입금액

증감률

전체

13,029

47.1

726,525

103.6

25,676

-3.2

28,030

32.6

 중국

10,316

52.6

22,209

115.3

22,323

0.5

25,614

40.4

브라질

1,833

15.2

2,146

17.1

1,960

-8.7

1,252

-31.8

 홍콩

297

110.3

764

157.7

729

-4.7

811

34.6

 미국

476

182.8

964

102.6

451

-53.2

170

-55.9

인도

30

-

103

245.7

121

18.0

94

202.7

한국

5

-

3

-41.4

1

-72.9

-

-

기타

73

-62.4

337

359.7

92

-72.8

88

19.8

: 2024년 10월 누적 전년 동기대비 기

[자료: Penta Transaction Online, 2024.12.13]

 

2024 10월 누적 기준파라과이의 텀블러 수입액은 28030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2.6% 증가했다대부분의 주요 수입업체는 중국 제품을 수입하고 있으며일부 업체는 특정 브랜드를 대표하고 있다. Sindec S.A Stanley를 대표 브랜드로 수입하고 있으며, Ambiental S.A는 국외 브랜드 Bubba Contigo를 대표 브랜드로 수입하고 있다이 외의 업체들은 대부분 중국 제품을 중심으로 수입을 진행하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파라과이 텀블러 주요 수입기업(HS Code: 9617.00)> 

(단위: US$ 천, %)

기업명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10월)*

수입금액

증감률

수입금액

증감률

수입금액

증감률

수입금액

증감률

전체

13,029

47.1

26,525

103.6

25,676

-3.2

28,030

32.6

Pasionaria S.A. 

249

146333.5

1,677

573.6

3,313

97.6

1,127

-61.5

Sindec S.A.

3,149

172.7

5,340

69.6

2,967

-44.4

2,723

21.3

Shop R.T.U. S.A.

499

42.1

2,022

305.1

2,406

19.0

3,241

55.2

Importación & Exportación Adonai S.R.L.

12

-

552

4317.0

1,619

193.4

527

-57.0

Ambiental S.A.

409

-

1,562

282.1

1,027

-34.3

712

-23.9

기타

8,711

18.5

15,372

76.5

14,344

-6.7

19,701

68.2

: 2024년 10월 누적 전년동기대비 기

[자료: Penta Transaction Online, 2024.12.13]

 

현재 시중에서 일부 유통되고 있는 제품은 다음과 같다.

 

<현지기업 텀블러 브랜드별 품목 및 가격 현황>

(단위: US$)

브랜드명

사진제품명(용량)

가격

Hydrate

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1084/20241213215821374_7GGQ7O1W.png

Sunbeam (1200ml)

45

Hydrate

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1084/20241213215822748_09BLBL5F.png

Sleek line (620ml)

24

Hydrate

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1084/20241213215824141_6SI77VCD.png

Hydrate 1 (946ml)

30

Indio

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1084/20241213215825507_QKFSZD76.png

Stainless Steel Thermos with Faux Leather Cover (2.5L)

38

Indio

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1084/20241213215826875_ZU1CEF0J.png

Mate Thermolar Flask with Faux Leather Cover (1L)

32

: 2024년 11월 평균 1달러 환율 = 7798 과라니

[자료: KOTRA 아순시온무역관 자체조사]

 

<해외 기업 텀블러 브랜드별 제품 및 가격 현황>

(단위: US$)

브랜드명

사진제품명(용량)

가격

Stanley

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1084/20241213215828229_UZFMYTEV.png

Quencher Adventure (1.18L)

57

Bubba

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1084/20241213215829563_SZH46QEK.png

Mixed Berry (532ml)

16.5

Takeya

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1084/20241213215830927_DW80B7DU.png

Hoppie Actives Spout (500ml)

26 

: 2024년 11월 평균 1달러 환율 = 7798 과라니

[자료: KOTRA 아순시온무역관 자체조사]

 

 

국내 브랜드 Hydrate와 해외 브랜드 Stanley, Bubba, Takeya는 세련된 디자인과 화려한 색상이 특징이며주로 음료나 물을 담기 위해 사용된다이러한 제품들은 가볍고 휴대성이 뛰어나 실용적이다한편, 현지 브랜드 Indio는 테레레를 즐겨 마시는 사람들을 위한 전용 텀블러를 제공하며테레레 문화에 맞춘 디자인과 기능성을 강조하고 있다이처럼 국내외 다양한 텀블러 제품들은 파라과이 소비자들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며 현지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산 제품의 진출 가능성 


계 관계자들에 따르면파라과이 소비자들은 열 전사 인쇄(Sublimation) 방식의 텀블러를 선호하는 경향이 존재한다특히심미적 디자인과 합리적인 가격실용적인 500ml 크기의 제품이 가장 주목받고 있다그러나 소비자층에 따라 구매 기준이 다소 다르다일부는 가격대가 다소 높더라도 특정 브랜드의 정품을 선호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더욱 저렴한 제품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소비자 니즈가 다양하다KOTRA 아순시온 무역관의 인터뷰에서텀블러 매장 Impacto Store의 판매원 Lucia Talavera 씨는 "파라과이 텀블러 시장이 치열한 경쟁 속에서 저가 대량 생산 제품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며 "이와 같은 시장 환경에서 차별화된 제품의 필요성을 강조하며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ㅂ락혔다.

 

현재 파라과이 시장에서는 한국산 텀블러의 수입 사례가 없다. 그러나 Talavera 씨는 한국 제품이 뛰어난 디자인과 높은 품질을 보유하고 있어 현지 진출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특히 그는 “현지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에 대한 반응을 확인할 기회를 갖게 된다면 이를 기반으로 한국제품을 판매해 보는 것도 검토할 의지가 있다고 밝혔다결론적으로파라과이 텀블러 시장은 가격 경쟁이 심하지만소비자들이 디자인실용성합리적 가격 등의 요소를 중시하는 만큼이 요소를 충족시킬 경우 현지진출 가능성이 높아진다한국산 텀블러는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품질과 디자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나 가격 측면에서 현지시장 판매 규모가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맞춤형 추가 디자인을 제공하는 텀블러 매장 전경>

[자료: KOTRA 아순시온무역관 직접 촬영]

 

한편 파라과이에서 텀블러는 주로 수입업체가 해외 제조업체로부터 제품을 수입한 후대리점을 통해 직접 판매하거나 다른 판매 대리점을 통해 소비자에게 유통된다소비자들은 국내 유통 매장이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텀블러를 구입할 수 있다남미공동시장(MERCOSUR) 역외 공통관세에 따라 텀블러는 다음과 같은 HS Code 세율이 파라과이 내에서 적용된다.

 

<텀블러 관세율>

(단위: %)

HS Code

품목명

관세

부가세

9617.00

진공으로 단열된 이중벽 구조의 보온병 및 기타 보온 용기와 그 부품(유리 앰플 제외)

-

-

9617.00.10

보온병 및 기타 보온 용기

6.0

1.5

[자료: MERCOSUR EXTERNAL COMMON TARIFF 2024.12.13] 

 

또한 파라과이로 텀블러를 수입하려면우선 수입자 단일 등록(RUI, Registro Único del Importador) 완료해야 하며파라과이 관세청(DNA, Dirección Nacional de Aduanas) 수입 단일 창구(VUI, Ventanilla Única del Importador) 통해 모든 수입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  가지 절차는 파라과이 정부가 요구하는 기본 요건으로모든 수입자는 이를 준수해야만 합법적인 수입 활동을   있다수입품에 대한 필수 서류로는 상업 송장화물 포장 명세서원산지 증명서그리고 선적 관련 문서가 필요하며  문서들은 수입품의 품질과 출처를 증명하며관세청의 심사를 받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파라과이의 수입세율  Ley N.1095/84 (1984년 법률 제1095관세법 제2조에 따르면수입품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며과세 대상 물품의 과세 가치(CIF 기준) 대해 최대 30% 세금이 부과될  있으며 추가로부가가치세(IVA) 같은 기타 세금이 추가로 적용될  있으므로 이를 사전에 고려해야 한다.

 

시사점

 

파라과이 텀블러 시장은 전통적인 음료 문화와 글로벌 트렌드의 확산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성장했다. 소비자들은 디자인, 실용성, 가격 경쟁력을 주요 요소로 고려했으며, 현재 중국산 제품이 시장의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시장 규모는 크지 않지만, 한류의 영향과 한국 제품의 프리미엄 이미지가 현지 진출 전략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KOTRA 아순시온 무역관과 인터뷰한 Impacto Store 관계자는 "한국산 텀블러가 우수한 디자인과 품질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시장에 진출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를 위해 차별화된 디자인과 현지화된 마케팅 전략, 소셜 미디어 활용 등이 필요하며, MERCOSUR의 공통 관세와 수입 규제 절차를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Impacto Store 관계자는 "파라과이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춘 실용적이면서도 합리적인 가격대의 제품을 제공한다면 시장 내 경쟁력을 확보하고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료Penta-Transaction Online 통계 사이트, 파라과이 주요 일간지(ABC COLOR, ULTIMA HORA, LA NACION 등), 파라과이 관세청, 파라과이 국세청(DNIT, Dirección Nacional de Ingresos Tributarios), 각 브랜드 홈페이지 및 소셜미디어, KOTRA 아순시온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원문기사링크 :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80&CONTENTS_NO=1&bbsGbn=243&bbsSn=243&pNttSn=223574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