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해외 디자인 뉴스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2024 방글라데시 섬유봉제산업 정보

1970년대 후반한국대만 등 동아시아 봉제기업들이 다자간 섬유협정(MFA) 쿼터와 저렴한 노동력을 활용하기 위해 방글라데시로 들어오면서 기성복(RMG) OEM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2004년 이후 전체 수출 비중의 75% 이상으로 국가 최대 산업으로 자리매김 해왔다.

 

방글라데시 니트웨어 제조수출자협회(BGMEA)에 따르면, 현재 방글라데시 의류시장 점유율은 중국 다음으로 세계 2위 기성복(RMG수준이며방글라데시 전체 수출의 84.6%, 총 GDP의 10.4%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또한 기존 면직물 의류 중심(약 70% 이상)에서 인조섬유(MMF) 비중을 키우며 점차 고부가가치 의류를 생산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이로 인해 자라, H&M, 코치 등 글로벌 브랜드들의 제조 위탁 추세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8월 5전 국민 정권퇴진 운동으로 인해 15년간 독재정권을 이어온 하시나 정부가 물러나고현재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Mr. Muhammad Yunus를 리더로 한 과도정부가 출범하였다과도정부 개혁과정 속 기존 경제 정책이 급변할 예정이다또한, 2026년 최빈개도국(LDC) 특혜관세 졸업글로벌기업의 지속가능성(GSDDD) 실사기준 등으로 방글라데시 RMG산업도 변화의 기로에 선 상황이다.

 

1. RMG 산업 동향

 

1) RMG 의류 수출동향

 

최근 10년 이상 방글라데시 RMG 의류 수출은 지속적으로 성장해왔다. 2019-20 회계연도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해 279억 5000만 달러로 조금 위축되었으나이듬해부터 다시 회복하였고 2022-23 회계연도에는 469억 9000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최근 10년 방글라데시 RMG 의류 수출 추이>

(단위US$ 십억)

그림입니다.

[자료방글라데시 니트웨어 제조수출자협회(BGMEA)]

 

2023년도 4분기 기준방글라데시 기성복 의류는 미국독일영국 순으로 가장 많이 수출을 하였으며전체 국가 수출의 84.98% 비중으로 전년 대비 더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한국으로는 2023~24 회계연도 기준 전체 수출의 1.2% 수준인 약 5억 7000만 달러를 수출하였으며최근 3년간 계속 수출액은 늘어나는 추세이다.

 

<최근 3 RMG의류 수출 상위 10개국 동향>

(단위: US$ 천)

순위

국가명

2020-21
수출액

2021-22
수출액

2022-23
수출액 

2022-23
수출비중 

2022-23
전년대비 성장률 

2023-24
수출액
*

1

USA

5,946,400

9,013,090

8,516,910

18.12%

-5.51%

7,468,490

2

Germany

5,612,680

7,169,530

6,681,160

14.22%

-6.81%

5,425,360

3

U.K.

3,444,570

4,497,220

5,026,780

10.70%

11.78%

5,159,940

4

Spain

2,161,410

3,018,520

3,577,710

7.61%

18.53%

3,433,340

5

France

1,769,000

2,390,980

2,944,600

6.27%

23.15%

2,690,110

6

Italy

1,216,400

1,596,770

2,269,590

4.83%

42.14%

1,935,140

7

Netherlands

1,043,740

1,474,320

1,851,490

3.94%

25.58%

1,937,590

8

Poland

1,380,400

2,006,050

1,732,030

3.69%

-13.66%

1,800,160

9

Japan

944,820

1,098,620

1,599,800

3.40%

45.62%

1,484,600

10

Canada

995,590

1,326,360

1,545,840

3.29%

16.55%

1,386,580

17

Korea Rep.

322,310

439,750

538,460

1.15%

22.45%

572,850

* 2023-24FY 통계는 추정치

[자료방글라데시 니트웨어 제조수출자협회(BGMEA)]

 

기성복 의류 수출은 크게 바지류(Trousers), 셔츠류(T-Shirts & Knitted shirts), 스웨터(Sweaters), 블라우스류(Shirts & Blouses), 속옷류(Underwear)로 구분되며최근 10년간 각 품목별 수출 동향은 아래와 같다.

 

<최근 3년 기성복 의류 수출 상위 10개국 동향>

(단위: US$ 천)

연도

Trousers

T-Shirts &

Knitted shirts

Sweaters

Shirts & Blouses

Underwear

2015-16

10,167,310

6,892,800

3,182,470

3,076,360

1,172,740

2016-17

9,943,090

6,650,510

3,361,530

2,918,970

1,328,500

2017-18

10,833,830

7,153,840

3,674,700

2,927,340

1,410,700

2018-19

11,754,860

7,902,270

4,255,910

3,190,230

1,640,360

2019-20

9,362,640

6,273,770

3,597,680

2,449,650

1,358,720

2020-21

10,681,520

7,239,740

4,051,830

2,048,400

1,789,700

2021-22

14,507,500

9,857,540

5,640,450

2,765,910

2,343,560

2022-23

14,953,300

10,862,520

5,942,470

3,650,120

2,369,990

[자료방글라데시 니트웨어 제조수출자협회(BGMEA)]

  

2) 수출 인센티브 감소 등 생산원가 경쟁력 약화

 

최근 방글라데시 정부는 43개 품목에 대한 수출 인센티브를 대폭 축소하였다. 섬유봉제 산업 관련 약 28(65%) 품목도 이에 해당되어약 30~50%가량 인센티브가 삭감되었다이는 2026년 예정인 최빈개도국(LDC) 특혜관세 졸업에 대비하여 민간 기업 경쟁력을 키우고자 시행됐다. 중앙은행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정부는 2023년 회계연도에 약 6억 6700만 달러 규모의 인센티브를 지급하였으나, 2024년 회계연도부터는 점차 감소시켜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수출 인센티브 신규 비율 표>

(단위: % )

부 문

이전 비율

신규 비율

섬유품목을 EU로 수출 시 추가 1.5% 인센티브 제공

1%

0.5%

섬유품목 신제품 또는 신시장 확대 시

3%

2%

RMG 부문 특별 현금 인센티브

0.5%

0.3%

황마 제품군 다양화

15%

10%

황마 원사(yarn and twain)

5%

3%

가죽 제품

12%

10%

[자료방글라데시 수출진흥청(Export Promotion Bureau)]

 

2023년 11, RMG 부문 노동자 최저임금도 113달러로 전년대비 56% 인상하였다타 국가 대비 저임금에도 불구하고 매년 약 10% 수준에 달하는 생필품 물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앞으로도 임금 인상에 대한 요구는 계속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이 밖에도가스·전기세 상승 및 전력난 등으로 생산원가 경쟁력이 조금씩 약화되며, RMG 부문에서의 혁신 수요도 커지고 있다.

 

3) 기타 국내외 관련 정책 동향

 

2024년 6월 6방글라데시는 2024년 회계연도부터 민간 경제특구(EZ)에 입주한 기업 대상 면세 혜택(10년간 소득세 면제 혜택 등)을 단계적으로 폐지할 계획을 발표했다또한 해당 특구로의 제조 기계부품 및 원부자재 수입에 대한 무관세 혜택도 1% 이상 관세 부과로 변경될 계획이다. 

 

2024년 4유럽 의회 또한 기업지속가능성실사 지침(CSDDD)을 통과시켰으며이는 방글라데시 RMG 부문도 유럽으로 수출 시 파리협정에 따른 기후변화지속가능성에 대한 기준을 점차 지켜나가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이러한 국내외 관련 정책들은 중장기적으로 방글라데시 RMG관련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게 될 것이나이를 위해 다양한 혁신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RMG 산업 관련 원부자재 및 부품설비 동향

 

RMG 산업은 노동집약적 산업이지만 생산 과정은 글로벌하다현재의 섬유산업 글로벌공급망은 기본적으로 서구 선진국의 소매기업들이 개도국 생산업체와 협력해 제품을 디자인하는 구조이다. 개도국 생산업체들은 직물 등 원부자재를 수입하여 최종 생산품을 선진국 소매기업들에게 유통한다.

 

생산 공정은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MMF)를 조달한 뒤방적편직직조 등의 공정을 통해 직물로 변환한다이후 원단들을 옷으로 가공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이후 완성된 제품은 브랜드 소매기업에게 공급되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RMG 산업 공급망 도식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그림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87pixel, 세로 911pixel

 

[자료무역관 작성]

 

 RMG 산업은 수입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방글라데시는 직물의 약 70%를 주로 중국인도 등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으며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면화 수입국이다.

 

1) 원면 (Cotton)

 

면직물 의류는 방글라데시 수출 의류의 약 70% 수준으로 가장 비중이 크다최근에는 고부가가치 품목 강화를 위해 현재 26% 수준인 인조섬유(MMF) 의류 분야로 생산 비중을 확대하고자 노력 중이다2023년 회계연도에 39억 달러 수준으로 수입했으며이는 인조섬유(MMF) 수입 확대로 전년대비 약 13% 감소한 수치이다.

 

<방글라데시 원면 5개년 수입동향>

(단위: US$, %)

회계연도 

FY2018-19

FY2019-20

FY2020-21

FY2021-22

FY2022-23

수입액

3,191,567,798

3,418,415,969

3,780,863,944

4,576,133,552

3,947,807,000

성장률

-3.0 

7.1

10.6

21.0

-13.7

[자료방글라데시 통계국]

  

2022년 회계연도 기준전체 원면 수입의 35%를 서아프리카에서 받고 있다다음으로 지리적으로 가까운 인도에서 23%를 공급받고 있다그리고 브라질 15%, 미국 8% 순으로 공급을 받으며세계 2위 규모로 많은 수요를 다양한 국가로부터 충당하고 있다.

 

<원면 수입 국가별 점유율>

(단위: %)

그림입니다.

[자료방글라데시 통계국]

 

2) 인조섬유(MMF)

 

글로벌 의류 수요 트렌드가 점차 인조섬유(MMF) 의류시장으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2021년 기준전 세계 의류시장 규모는 4,400억 달러로 추산되는데 이 중 인조섬유(MMF) 분야가 2,220억 달러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서 방글라데시에서도 폴리에스터 스테이플 섬유(PSF), 비스코스 스테이플 섬유(VSF) 등의 인조섬유 수입이 급증하고 있다방글라데시 섬유공장협회(BTMA)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 PSF, VSF 섬유만 0.21만 톤을 수입했으며이는 2022년 동 기간에 수입된 0.18만 톤보다 13.39% 증가한 수치이다.

 

방글라데시는 2041년까지 3,000억 달러 상당 의류 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현재 전체 생산의 24% 수준인 인조섬유(MMF) 의류를 2배 이상으로 확대해야 하는 상황이다.

 

<방글라데시 폴리에스테르 스테이플 섬유(PSF) 3개년 수입동향>

(단위: US$)

회계연도

FY2020-21

FY2021-22

FY2022-23

수입액

248,841,433

268,783,176

499,770,000

[자료방글라데시 통계국]

 

<PSF 섬유 수입 국가별 점유율>

[자료방글라데시 통계국]

 

2023 회계연도 기준방글라데시 전체 PSF 수입의 47%를 중국에서 수입했고인도네시아(24%), 태국(11%), 말레이시아(5%)가 그 뒤를 이었다한국에서는 전년과 동일하게 4% 수준으로 수입하였다.

 

3) 원사

 

2023년에 HS 코드 5204, 5205, 5207 관련  원사에 대한 방글라데시 수입액은  14 달러로 전년대비 약 26% 감소했다.

 

<원사 수입 국가별 점유율>

(단위: %)

[자료방글라데시 통계국]

 

2023년 방글라데시 전체 원사 수입의 66.35%를 인도가 공급했고중국 11.50%, 베트남 7.39%, 파키스탄 6.63% 순이며 한국의 시장 점유율은 0.11% 수준이다.

 

4) 원단

 

방글라데시의 2022 HS 코드 5208  5209 관련 직물 수입은 전년대비 11% 감소한  20억 4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원사 수입 국가별 점유율>

[자료방글라데시 통계국]

 

2023년 방글라데시 전체 원단 수입의 59.05%를 중국이 공급했고파키스탄 18.33%, 인도 15.50%, 한국에서는 0.84%를 수입했다.

 

5) 생산기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방글라데시 RMG 의류 생산 물량에 따라 섬유봉제기계 수요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중국으로부터 섬유봉제기계를 가장 많이 수입하고 있으며일부 특정 고품질 의류 생산기계는 독일(고품질 방적기 및 직조기), 이태리(고급 편직 및 염색기계등에서 수입해오고 있다.

 

<주요 섬유기계 품목별 수입내역>

(단위: US$ )

HS코드

품 명

FY’21-22

수입액

FY’22-23

수입액

주요 수출국

및 시장점유율

주요 브랜드

8445

방직 원사를 준비하는 기계

(방적 기계)

227,702

383,432

China (34.43%), India (24.63%), Germany (12.36%), Japan (10.84%), Italy (8.27%), Switzerland (5.52%) and Korea (0.03%)

Jingwei Textile Machinery Co., Ltd (China), Murata (Japan), Trutzschler (Germany),Rieter AG (Switzerland), Lakshmi (India) etc.

8446

직조기(직물)

70,371

48,967

Belgium (36.76%), China (29.44%), Japan (11.21%), Italy (9.38%), India (5.85%) and Korea (0.25%)

Toyota (Japan), Santoni (Italy) etc.

8447

뜨개질기 스티치본딩 등

220,114

169,746

China (57.06%), Taiwan (13.98%), Japan (9.34%), USA (8.71%), Italy (2.91%), Germany (2.86%) and Korea (2.33%).

ShimaSheiki (Hong Kong), (Ningbo Beworth (China)

8451

염색세척 세척가압 등의 기계

294,171

288,019

China (27%), Italy (22%), Germany (16%), Turkey (14%) and Korea (6%)

Fong’s (China), Beneks (Turkey), CanlarMekatronik (Turkey) etc.

8452

재봉틀

274,610

224,833

China (60%), Japan (16%), Italy (6%), Taiwan (4%), Vietnam (4%), Singapore (2%) and Korea (2%)

Jack (China), Juki (Japan), Sunstar (Korea)

[자료방글라데시 중앙은행]

 

최근 현지 전력수급이 원활하지 않고전기 가격도 급등하고 있어 섬유봉제기업들은 다양한 혁신을 모색 중에 있다우선 에너지 효율이 높은 섬유봉제기계에 대한 수요가 큰 편이다또한공장 내 태양광 발전을 설치하여 자체적으로 불안정한 전력 수급을 해소코자 하는 수요도 점차 커지고 있다.

 

자동화 설비에 대한 수요도 상당하다이미 방글라데시의 많은 섬유봉제기업들은 생산 효율화를 위해 첨단기술을 도입하고 있다독일-방글라데시 합작사인 로빈텍스 그룹(Robintex Group)은 초고속 디지털 인쇄기(MS LaRio) 설치를 통해 기존 로터리 인쇄 대비 물 사용량 70%, 전기 사용량을 30% 절감하였다팀 그룹(Team Group) 또한 반자동 라인을 사용해 기존 생산 원가의 10~15%를 절감하고 있다.

 

3. 방글라데시 RMG 산업 SWOT 분석

 

Strength (강점)

  o 글로벌 시장 점유율 : 방글라데시는 전 세계 2위의 의류 수출국이며, 특히 기성복(RMG) 분야로 미국, 유럽 등의 노스페이스, 자라, H&M 등 유명 브랜드들의 OEM 생산을 오랫동안 지속해오고 있음.

  o 인근 지역의 풍부한 천연자원 : 인근국인 인도의 황마, 면, 실크 등 다양한 천연 섬유를 활용하기 쉬움.

  o 경쟁력 있는 풍부한 저임금 노동력 : 타 경쟁국 대비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많은 인력이 투입되는 RMG 산업에 경쟁력 있는 원가 절감 기회를 제공함.

 Weakness (약점)

  o 특정 국가에 대한 높은 의존성 : 방글라데시 기성복(RMG) 분야 수출이 주로 유럽과 미국 등 일부 시장에 집중되어 있어, 해당 국가의 경제 및 정치적 변동에 대응이 취약한 구조임.

  o 오래된 관행으로 인한 신 애로 : 1970년대부터 시작된 방글라데시 RMG 산업 관련 OEM 기업들은 오랫동안 이어온 생산 방식 등의 관행을 혁신하기 어려운 면이 있음.

  o 자금 조달의 어려움 : 상대적으로 취약한 금융시장, 경제적 펀더멘탈로 신규 기술 R&D 및 인프라 투자를 위한 외국자본 유치에 어려움이 많은 편임.

Opportunity (기회)

  o 정부의 지원 의지 : 방글라데시 최대 산업으로 정부는 보조금, 세제 혜택 등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국가 경제 성장을 견인하려는 의지가 강한 편임.

  o 공장자동화 트렌드 :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많은 OEM기업들이 공장자동화 설비기계 및 솔루션 투자를 적극적으로 시작하고 있음.

  o 혁신 소재 개발 : 방글라데시는 기존 천연섬유 비중이 높았던 상황에서 최근 인조섬유(MMF) 비중을 높이고자 함. 이에 따른 지속 가능하고 재활용 가능한 신소재 개발을 위해 노력 중임.

Threat (위협)

  o 심화되는 글로벌 경쟁 : 베트남, 에티오피아 등 타 저비용 생산 가능 국가와의 경쟁이 점차 치열해지고 있음.

  o 불안정한 경제적 더멘탈 : 높은 인플레이션, 환율가치 하락 및 정부의 낮은 외환보유고 등으로 인한 원부자재 수입 시 경제적 불확실성이 큰 편임.

 

4.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방글라데시 의류 산업은 전 세계 2위 수준으로 규모가 상당하며매년 계속 성장하고 있다하지만 기존 원면 중심의 생산 비중에서 인조섬유(MMF) 비중을 확대하고생산 원가를 절감하면서 높은 수준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혁신이 계속 요구되고 있다정부의 면세 혜택 축소전력난 및 전기세 인상최저임금 상승 등 당면한 해결과제도 있다하지만여전히 여타 봉제산업 국가인 베트남 등에 비해 임금이 3-4배 저렴하고중국의 무역 긴장 고조로 방글라데시 RMG 수출은 앞으로도 전망이 좋은 편이다.

 

매년 성장하는 방글라데시 RMG 시장에서의 혁신에 대한 필요성은 기존 원부자재봉제생산기계에서 자동화 설비 솔루션소형 태양광 발전 등 보다 다양한 품목에 대한 기회로도 이어질 수 있다또한가죽제품 및 신발제품으로 생산 영역도 계속 확대되고 있어 우리나라 관련 기업들은 향후 방글라데시 투자진출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다만 최근 정권교체 후 과도정부가 출범하며 향후 정치적사회적 변화가 클 수 있기에관심 있는 기업들은 과도정부의 RMG산업 관련 정책 등에 보다 긴밀하게 대응하며 준비할 필요가 있다.

  

 

<자료원방글라데시 통계국방글라데시 중앙은행방글라데시 수출진흥청, BGMEA 협회, KOTRA 다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원문기사링크 :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200&CONTENTS_NO=1&bbsGbn=403&bbsSn=403&pNttSn=220265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