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해외 디자인 뉴스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이집트 COP27 개최 준비에 박차, 환경 프로젝트 각광

2022년 이집트에서 개최되는 가장 큰 행사는 당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UNFCCC COP27, 이하 COP27)라 할 수 있다. COP27은 1994년에 발효된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 협약(UNFCCC)에 서명한 국가들 간 연례국제행사로 기후변화와 관련된 각국의 아젠다와 액션플랜 등을 논하는 회의이다. COP27은 UNFCCC이후 1995년 부터 매년 개최되어 왔으며 2022년 11월에 이집트 휴양도시 샤름엘셰이크에서 27회차 회의가 개최될 예정이다.

 

한편, 2018년 8월 7일에 이집트를 포함한 197 개국이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 참석해 환경조약에 서명했으며 기후에 악영향을 주는 인위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조절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집트 정부의 COP27 개최 노력, 국제사회 관심 집중

이집트 정부는 COP27을 통해 국제사회에 자국의 위상을 높여 뒷따르는 기타 경제적 혜택을 최대화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집트 환경부와 외교부가 공동으로 성공적 COP27 개최를 위한 계획 구상에 착수했으며 2021년 9월 29일까지 전문 컨설팅 업체 입찰도 진행한 바 있다. 이후 이집트 환경부는 COP27 개최를 위한 4대 목표를 발표하였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이집트 환경부 발표 COP27 개최를 위한 4대 목표>

자료: 이집트 환경부 및 무역관 편집

 

첫 번째 목표는 이집트 관광부와 협업해 샤름엘셰이크의 관광기반시설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골자로 하며 최근 샤름엘셰이크에 국제회의장 보수를 마친 바 있다. 두 번째 목표는 COP27 회의 전까지 샤름엘셰이크와 근처 또 다른 휴양지인 후루가다의 차량을 천연가스나 전기기반 차량으로 변환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세 번째 목표는 전력량 향상, 네 번째 목표는 폐기물 관리를 주내용으로 담고 있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발표

 

이집트 환경부는 최근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를 발표하며 COP27 준비를 위한 기틀을 마련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외에도 이집트 정부는 COP27 개최를 위해 약 1.6억 달러의 정부예산을 할당했으며,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등 국제사회의 이집트의 COP27 개최를 위한 금융지원이 예상된다.

 

이집트 정부는 2011년에 처음으로 기후변화 적응과 재난위험 감소전략(National Strategy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Disaster Risk Reduction)을 발표한 이후 2018년에 장기저탄소 발전전략(LEDS)를 발표한 바 있다. LEDS는 이집트 정부가 발표한 국가발전계획 2030(SDS 2030)과 연계해 이집트 정부의 탄소 배출 감소 노력 등을 담고 있었으나 국가기후변화위원회(NCCC)가 해당 전략을 2050년까지 보완할 것을 요청한 바 있다. 이에 이집트 환경부를 주축으로 이집트 기후변화전략 2050(NCCS)가 발표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집트 기후변화전략 2050 요약표>

목표

세부 목표

달성 세부계획

1. 지속가능한 경제발전과 모든 분야에의 저탄소 개발

1. 재생가능 에너지원으로 변환

 

ㅇ wind farms, concentrated solar power (CSP), solar photovoltaic plants, as well as bioenergy plants등 대규모 재생에너지 중앙시스템 개발

ㅇ waste, bioenergy, rooftop photovoltaic solar cells and solar water heaters 등 소규모 재생에너지 시스템 개발

ㅇ AI 컨트롤 시스템 등 재생에너지 활용르 위한 기술 개발

ㅇ 오프그리드 활성화

ㅇ 에너지저장시스템 개발

ㅇ 수소, 원자력 등 대체 에너지원 개발

ㅇ 산업 현장 내 태양렬과 지열을 활용한 전력 생산 증력

ㅇ 저석탄 연료로 변환

ㅇ 화석연료에서 바이오연료로 변환

ㅇ 화석기반 시설의 점진적 변환 모색

 

2.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 감소

 

ㅇ 천연가스 차량 증축Converting cars to run on compressed natural gas instead of gasoline

ㅇ 교통혼잡 감소를 위한 도로시설 정비

ㅇ 전기기반 대중교통 증축

ㅇ 천연가스와 LNG 기반 선박 증선

ㅇ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 활용방안 모색

ㅇ 화물열차 개발

ㅇ 무동력 교통 개발(자전거 등)

ㅇ 석유에너지 보조금 개혁

ㅇ 부탄대체 천연가스 확보

ㅇ 석유가스와 메탄가스 활용

ㅇ 친환경 경제로 변환 도모

 

3. 에너지효율 극대화

 

ㅇ 지열플랜트 발전량 및 에너지 수송과 유통 효율 향상

ㅇ 에너지효율 프로젝트 활용

ㅇ 전자제품 및 기구의 에너지효율 향상

ㅇ 에너지관리 시스템 개발

ㅇ 에너지수송 효율 향상

ㅇ 기존 건물 및 신축 건물의 에너지 효율 극대화, National Green Building Code 개발

ㅇ 산업 에너지효율 향상

ㅇ 관광, 산업시설 에너지효율 향상

ㅇ 스마트 시티 및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에너지사용 최소화 도모

 

4. 비에너지 분야에서의 온실가스 소비와 생산의 지속가능성 구축

 

ㅇ 농업 온실가스 배출 감소(사료분배 시스템기술, 물사용이 적은 작물 재배 등)

ㅇ 도시 및 농가 내 4Rs 개념 홍보; 폐기물 감소(Reduce), 재사용(Reuse), 재활용(Recycle), 재생(Recover)

ㅇ 고체폐기물 처리 및 폐기물 가스 수집 기술 개발

ㅇ 정책 개발; 1회용 플라스틱 사용 제한, 재활용 가능 물질 활용 등

 

2. 기후변화 대응능력 향상 및 기후변화에 따른 악영향 조절

1.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문제로 부터 시민 보호

 

ㅇ 기후변화에 따른 질병 대응을 위한 헬스서비스 향상

ㅇ 기후변화의 박테리아, 기생충, 곰팡이, 바이러스 활동에의 영향 조사

ㅇ개인 및 단체를 위한 의료기반시설 구축

ㅇ 열사병 등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문제를 다룰 수 있는 전문 의료진 육성

ㅇ 감염 예방 백신 개발 등 예방서비스 개발

ㅇ 기후변화에 따른 보건문제 조기경보 시스템 및 컨트롤 프로그램 구축

ㅇ 여성(특히 산모), 어린아이와 노약자와 장애인에 대한 특별관심

ㅇ 여성과 어린아이 등 취약계층 내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 상 위험 인식 개선

ㅇ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계층(특히 낙후 지역 여성) 대상 일자리 발굴 등 지원 프로그램 개발

ㅇ여성(특히 산모), 어린아이와 노약자와 장애인에 대한 충분한 영양 제공

ㅇ 기후변화와 관련한 역학예측 구축

ㅇ 공기, 물, 토양, 음식과 폐기물을 통한 감염과 관련된 MRV(Monitoring, Reporting and Verification (MRV) 메커니즘 강화

ㅇ 기후변화와 관련된 헬스로드맵 구상

ㅇ젠더차별 없는 헬스서비스 구축

ㅇ 구조적 개선을 통한 기온하락 효과 창출(건물 옥상 및 겉면을 하얀색 페인트로 칠하는 활동 등)

 

2. 기후변화로부터 국가자산과 생태계 보호

 

ㅇ KSP 등을 통한 모든 분야에서의 개발방향 확인 및 우선순위 설정

ㅇ 생태계 적응능력 향상

ㅇ 생물다양성 문제, 기후변화와 생태계 파괴와 관련된 일관된 접근 방식 구축

ㅇ 멸종위기종 보호

ㅇ 역사,문화적 유산을 기후변화로 부터 보호

ㅇ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기후변화 취약지역(핫스팟) 외 개발지역 선정

 

3. 기후변화로부터 국가자원 보호

 

ㅇ KSP 등을 통한 모든 분야에서의 개발방향 확인 및 우선순위 설정

ㅇ 폐기물 감소 및 수자원 활용 효율 향상을 위한 정책 개발

ㅇ 수자원 활용, 에너시소비 향상, 음식물쓰레기 감소를 위한 기술 활용

ㅇ 수자원 확보 및 빗물수확 시스템 개발

ㅇ 수자원, 에너지, 토양 자원 절약 인식 개선

ㅇ 홍수수확시스템 구축 및 활용

ㅇ 관개 시스템 효율화

ㅇ 하수처리 플랜트 및 산업폐기용수 재활용 시설 증축

ㅇ 운하, 파이프 등 기존 담수확보 시설 보수

ㅇ 최빈지역 서비스 향상을 통한 담수확보 효율향상

ㅇ 기존 전통 수자원 외 수자원 개발

ㅇ 농지 및 농수 보호

ㅇ 높은 온도, 가뭄 등에 강한 작물 개발 및

ㅇ 농지 추가 확보

ㅇ 농가 사용수 재사용

ㅇ 작물관리 시스템 개선

ㅇ 수산업 보호

ㅇ생물다양성 문제를 기후변화와 관련된 사항으로 인식

ㅇ 국제물절약 기준에 맞는 위생도구 현지생산 독려

ㅇ 물류 과정에서 발생하는 페기물 감소를 위한 공급망 및 물류시스템 개발

 

4. 기후변화 대응 유연성이 있는 인프라 서비스 구축

 

ㅇ KSP 등을 통한 모든 분야에서의 개발방향 확인 및 우선순위 설정

ㅇ 해안가 보호

ㅇ 기후취약성 지역 홍수보호시스템 구축

ㅇ 하수처리 개선

ㅇ 취약지역 수자원 및 위생시스템 구축

ㅇ 높은 기온, 홍수, 해수면 상승 등 기후변화에 유연한 대응을 위한 도로 정비

ㅇ New Delta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농업프로젝트 개발

ㅇ 수자원 및 관개인프라 개발(하수도 현다화, 농업관리 시스템 구축

ㅇ 헬스케어 시설 인프라 개발

 

5. 재난관리 컨셉 구축

 

ㅇ 통합 데이터베이스를통한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ㅇ 생물다양성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정기적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ㅇ 개인 업무환경에서의 기후변화 인식 제고

ㅇ 취약계층에 대한 기후변화 위험성의 사회적 인식 제고

ㅇ 위기관리 계획 개발을 위한 지역사회 참여 제고

ㅇ 사회보호망 펀드 개발 강화(자연재해 보험 등)

 

6. 녹색지역 보전 및 확대

ㅇ 신도시 내 녹색지역 증축

ㅇ 인구 밀집 및 고온지역에 녹색지역 증축

7. 여성의 기후변화 대응력 향상

 

ㅇ 기후변화와 관련된 최신기술 분야 여성고용

ㅇ 기후변화와 관련된 여성들의 수요를 반영할 자금조달 매커니즘 구축

ㅇ 기술이전, 역량강화 등에서의 젠더차이 고려

ㅇ 기후변화와 관련된 훈련프로그램에 여성참여율을 높여 젠더평등 실현

 

3. 기후변화 실행 거버넌스 향상

1. 전략적 목표 달성을 위한 각 분야별 역할과 책임 명시

 

ㅇ 모든 관련 정부부처의 기후변화 관련 서류를 관리하는 기후변화팀(Climate Change Unit) 설립 및 개발

ㅇ 파리기후변화협약과 관련된 보고서 준비 지원

ㅇ 여러 정부부처의 기후변화 관련 실행역할과 지표 마련

ㅇ 각 주별 기후변화 관련 역할 분배 및 기후변화 관련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젝트 기획 및 실행

ㅇ 각 분야별 기후변화 관련 노력을 통합하기 위한 정기적 정보공유 메커니즘 구축

ㅇ 정보투명성 제고를 위한 각 정부부처별 필요 정보 확인

ㅇ 각 주별 외곽지역 등 위험관리팀 설립

ㅇ 전략적 목표 설정을 위한 분야별 컨설팅

ㅇ환경운동과 연계해 기후변화 분야의 거버넌스와 관리 향상을 위한 도시별 워킹섹터 향상

 

2. 투자유치 및 자금조달을 위해 기후변화와 관련된 국제랭킹 향상

각 정부부처별 계획 검토 및 관련 프로젝트 확인 1년에 2회 관련 보고서 발간

3.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분야별 정책 개혁

 

ㅇ 기존 정책을 실행하기 위한 명확한 메커니즘 확보

ㅇ 새로 제기된 정책을 실행하기 위한 우선순위 결정

ㅇ 민간 그룹의 정책 토론 참여

ㅇ 경제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 검토 및 고도화

 

4. 구조적, 단계적, 법적 시스템 향상

 

ㅇ 기후변화와 관련된MRV(Monitoring, Reporting and Verification) 시스템 구축

ㅇ NRV와 관련된 연 2회 보고서 발간

ㅇ 기후변화와 관련된 통계청 데이터 최신화

ㅇ 탄소저장 시스템 등 개발

 

4. 기후기금 인프라 향상

1. 현지 그린뱅킹, 그린크레딧 활성화

 

ㅇ 기후금융을 위한 통합적 국가전략플랜과 세부 실행메커니즘 개발

ㅇ 기후위험측정, 기후영향측정, 지속가능성조사 등 사회환경적 요구 충족

ㅇ 은행의 금융 인프라 개발을 위한 역량 확인

ㅇ 국제금융프로그램 활용

ㅇ 기후변화 프로젝트 활성화를 위한 조사

 

2. 그린채권 등 기후변화 대응 금융메커니즘 홍보

 

ㅇ 그린채권 활용 독려

ㅇ RBF(Results-Based Financine)등 대여자 위험 감소 메커니즘 구축

ㅇ 중소기업에 그린금융 기회 제공

ㅇ 취약계층의 금융프로젝트 접근성 강화

ㅇ 금융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중소기업 등에 기술적 금융적 지원책 모색

ㅇ 국제사회의 금융메커니즘 관련 KSP 등 활용

ㅇ 기후금융 및 FDI 효과 측정

 

3. 기후금융 및 그린채권에 민간분야 참여

 

ㅇ 세금혜택, 수출 지원패키지, 친환경 프로젝트 지원 등 민간의 그린산업 혜택 마련

ㅇ 민간분야의 기후금융 인식 제고

ㅇ 민간단체와의 친환경 활동 등을 CSR로 활용 유도

 

4. 다자개발은행 기후금융 가이드라인 준수

 

ㅇ 다자개발은행 가이드라인 검토

ㅇ 현상황 대비 필요점 도출

ㅇ 관련 은행금융지원 확보를 위한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 우선순위 지정

 

5. 현 금융 프로그램의 성공적 실행

 

ㅇ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성공사례 도출

ㅇ 성공사례에 기반한 관련계획 개발

ㅇ 기존 성공모델에 기반한 금융정책 개발 장려

 

5.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과학조사, 기술이전, 지식관리

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과학조사와 기술이전 역할 강화

 

ㅇ 기후변화 대응 이해도 향상을 위한 국가조사기관 설립

ㅇ 재난예측, 기후환경 조기경보 시스템 내 과학조사의 장기적 역할 활성화

ㅇ 기후이상 조사 수행

ㅇ 대학 내 기후변화 관련 프로그램 증설

ㅇ 기후변화 관련 조사프로젝트에 대한 금융지원 증대

ㅇ 기후변화 관련 금융지원에 우선순위 부여

ㅇ 예측 및 긴급대응 분야 관련 해외연구기관과 협업

ㅇ 다양한 분야로 이루어진 조사단체 협력체계 구축

 

2. 정부기관과 시민단체 내 기후관련 정보와 지식관리 분권화

 

ㅇ 정부부처, 대학, 연구기관 간 통합된 데이터베이스 구축

ㅇ 연구기관간 조사결과 공유 협력 강화

ㅇ 연구단체와 정부기관 및 정책결정과 자 간 의견 차 조율

 

3. 당사자들 내 기후변화 관련 인식 제고

 

ㅇ 정책입안자들을 위한 특별훈련 프로그램 제공

ㅇ 환경보호 인식 개선을 위한 국가캠페인 진행,

ㅇ물 공급, 실업, 식량 안보등과 관련된 인식제고를 위한 각 단체의 참여(학교, 모스크, 미디어 등)

ㅇ 모든계층과 연령의 인식제로를 위한 최신 커뮤니케이션 툴 활용

 

[자료: Egypt National Climate Change Strategy (NCCS) 2050 및 무역관 자체편집]

 

이집트 사회의 친환경사회 변화 노력, 관련 산업 및 상품 수요 눈여겨 봐야

 

이집트 정부는 COP27 개최를 앞두고 회의 개최도시인 샤름엘셰이크를 비롯 이집트 산업을 친환경산업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전기차, 폐기물 처리 분야와 관련된 프로젝트가 눈에 띄며 관련 기자재 수요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재생에너지 분야 유망품목 수입동향>

(단위: 천 US$, %)

#

상품명

HS 코드

수입액

증감율 (20~21)

2019

2020

2021

1

태양열 인버터

85389000

77,639

45,260

73,261

61.9

2

에너지 저장장치

8507600

10,990

5,507

13,516

145.4

3

태양광 패널 및 전지

8541400000

280,263

61,850

97,326

57.4

4

태양광 트랙커

85439000

2,248

736

874

18.8

[자료: UN Trade Map]

 

<친환경 교통 분야 유망품목 수입동향>

(단위: 천 US$, %)

#

상품명

HS 코드

수입액

증감율

(20~21)

2019

2020

2021

1

전기버스

870390

18,311

25,701

23,184

Δ9.8

2

전기차

870380

3

전기차 배터리

850760

10,990

5,507

13,516

145.4

[자료: UN Trade Map]

 

 

친환경 자재들은 정부 프로젝트 따라 수요가 급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는 한다. 다음은 이집트 정부 발표 친환경 프로젝트를 일부 간추린 리스트이다.


<이집트 환경프로젝트 리스트>

연번

프로젝트명

Project Owner

프로젝트 유형

주요 분야

입찰공고일

1

Water Desalination Plant in Sharm El Shaikh

Holding Company for Water & Waste Water (HCWW)

Build Operate Transfer (BOT)

Water Desalination Plant

2023 1분기

2

Fayoum Wastewater Expansion Program

Holding Company for Water & Waste Water (HCWW)

Build Operate Transfer (BOT)

Water Treatment Plant

2022 3분기

3

El Tanqia El Gharbeya Wastewater Treatment Plant Upgrade

Holding Company for Water & Waste Water (HCWW)

Build Operate Transfer (BOT)

Water Treatment Plant

2022 4분기

4

Alexandria West Wastewater Treatment Plant Extension and Upgrade

Construction Authority for Potable Water and Wastewater (CAPW)

Build Operate Transfer (BOT)

Water Treatment Plant

2022 3분기

5

Wastewater Facilities in Areas Neighbouring Al Rahawi Drainage Canal

Construction Authority for Potable Water and Wastewater (CAPW)

Build Operate Transfer (BOT)

Water Pumping Station

2023 1분기

6

WTP in New Administrative Capital (Phase 1)

Construction Authority for Potable Water and Wastewater (CAPW)

Build Operate Transfer (BOT)

Water Treatment Plant

2022 4분기

7

Jirzah Wastewater Treatment Plant

Construction Authority for Potable Water and Wastewater (CAPW)

Build Operate Transfer (BOT)

Water Treatment Plant

2022 4분기

8

Safaga Desalination Plant

Egypt Ministry of Housing Utilities & Urban Communities (MHUUC)

PPP

Water Desalination Plant

2022 3분기

9

El Hamam Desalination Plant

Egypt Ministry of Housing Utilities & Urban Communities (MHUUC)

PPP

Water Desalination Plant

2022 분기

10

Koseir Desalination Plant

Egypt Ministry of Housing Utilities & Urban Communities (MHUUC)

PPP

Water Desalination Plant

2022 4분기

11

Marsa Allam Desalination Plant

Egypt Ministry of Housing Utilities & Urban Communities (MHUUC)

PPP

Water Desalination Plant

2022 4분기

12

Dam in Shalatin

Egypt Ministry of Water Resources & Irrigation (EMWRI)

Build Operate Transfer (BOT)

Dam

2023 1분기

13

Water Desalination Plant at Nile Dam

Egypt Ministry of Water Resources & Irrigation (EMWRI)

Build Operate Transfer (BOT)

Water Desalination Plant

2023 1분기

[자료: MEED]


환경부 발표 프로젝트 확인 필요

 

환경부산하 이집트 환경공사(가칭) (EEAA, Egyptian Environment Affair Agency)는 자체 홈페이지에 관련 프로젝트 입찰을 공고하는 바 해당 웹사이트를 주기적으로 확인해 관련 프로젝트 정보를 확인하는 게 필요하다. 일부 프로젝트는 고시기간이 짧은 경우가 있기에 현지 에이전트를 선임해 사전 정보 확보를 하는 것도 중요하다. EEAA 웹사이트 링크 클릭

 

<이집트 환경부 발표 프로젝트 입찰 순서도>

[자료: 무역관 자체 작성]

 

다음은 이집트 내 환경기자재 등 환경산업 주요 플레이어 정보이다.

 

<이집트 환경프로젝트 주요 플레이어 리스트>

Engineering Consultants Group (ECG) – Egypt

 

웹사이트

www.ecgsa.com

개요

ECG는 1969년에 설립된 업체로 중동아프리카 내 건설, 토목, 기반 시설, 전력, 교통, 도시 개발, 폐수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직원 수

1,300

기존 참여 프로젝트

Water: Kafr El-Sheikh Wastewater Expansion Project – Phase I

Water: Wastewater & Sewage Treatment Plant at Medical Union Pharmaceuticals Factory

Water: Rod EIFarag Water Filtration Plant (Expansion Program)

Water: UASB Sanhour Wastewater Treatment Plant (Phases III & V)

Water: Expansion of Alexandria East Wastewater Treatment Plant

Water: Al-Gabal Al-Asfar WasteWater Treatment Plant (Stage II-Phase II)

Water: Alexandria West Wastewater Treatment Plant

Water: Alexandria East Wastewater Treatment Plant

Shaker Consultancy Group – Egypt

 

웹사이트

www.shakergroup.com

개요

1982년에 설립된 업체로 중동아프리카 내 도시 기반 시설, 스마트 도시 시스템, , 도로 설계, 수처리 및 담수화 플랜트,냉각 플랜트 관련 프로젝트데 참여하고 있다.

직원 수

500

기존 참여 프로젝트

Power: Eastern Company Power Plant, Egypt

Power: MidElec Power upgrading plant, Egypt

Power: Al Enmaa Abu Menqar 12 MVA PowerStation, Egypt

Power: Metro Line 3 Site, 12.4 MVA Diesel Power Plant, Egypt

Power: Menya Cement Company Power Plant upgrading, Egypt

Power: South valley cement

Water: West Assuit potable water treatment plant, Egypt – 120,000 m3/ay

Water: West Qena potable water treatment plant, Egypt – 120,000 m3/ay

Water: Waldorf Astoria Resort Desalination plant, Maldives – 1,500 m3/ay

Dar Al Handasah – Lebanon

웹사이트

www.dar.com

개요

1956년에 설립된 업체로 엔지니어링, 건축, , 환경 컨설팅, 프로젝트 및 건설 관리, 시설 관리 분야에서 활동하 국제 컨설팅 업체이다. 레바논 베이루트, 카이로 이집트, 영국 런던과 푸네, 인도, 요르단 암만 등 4개 지사를 운영 중에 있다.

직원 수

6,300

기존 참여 프로젝트

Transport: Cairo Metro Line III Phase 4B, Egypt

Transport: Tahya Masr Multipurpose Terminal at Alexandria Port, Egypt

Smart Cities: Central Business District at the New Administrative Capital, Egypt

Power: Feasibility Study for a 2-MW Solar Photovoltaic (PV) Farm, Kazakhstan

Water: Umm Al-Hayman Sewage Treatment Plant – Extension and Related Works, Kuwait

Arab Consulting Engineers (ACE) Moharram Bakhoum – Egypt

웹사이트

www.ace-egypt.com

개요

국제 컨설팅 회사로 40년 넘는 관련 경험 보유 중

직원 수

1,200

기존 참여 프로젝트

Water: Greater Cairo Wastewater Project

Water: Nakivubo Channel Rehabilitation Project, Uganda

Water: Kotu Ring Rural Water Supply, Gambia

Power: Sidi Krir Thermal Power Plant, Egypt

Power: Western Cairo Power Station, Egypt

Power: Sharm El-Sheikh Diesel Power Station, Egypt

Hassan Allam Construction – Egypt

웹사이트

www.hassanallam.com

개요

34,000명 이상의 직원 규모를 자랑하는 엔지니어링, 조달 및 건설, 건축 자재 및 유틸리티 업체로 Hassan Allam 그룹 계열사

직원 수

11,000

기존 참여 프로젝트

Water: New Capit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Water: Mahsama Water Treatment

Water: Luxor Water and Wastewater Projects

Water: Abu Oueiqal Potable Water Purification Plant

Water: 6th Of October Raw Water Intake, Boosters and Transmission Lines

Water: Gabal Al Asfar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Arab Contractors – Egypt

웹사이트

www.arabcont.com

개요

공공 건물, 교량, 도로, 터널, 공항, 주택, 상하수도 프로젝트, 폐수 처리 공장, 발전소, 댐, 병원, 스포츠 건물, 기념물 복원, 관개, 레미콘 생산, 조선, 전기 기계 프로젝트, 엔지니어링 컨설팅, 철강 구조물 제조 및 조립 관련 프로젝트 진행 경험 보유

직원 수

77,000

기존 참여 프로젝트

Water: Sheikh Zayed Water Treatment Plant

Water: Abbassa Water Station

Water: Sheikh Zayed Sewage Project

Water: Bahr El Baqar Water Treatment Plant

Water: Al-Marg Potable Water Station - Cairo

Water: Monouf Water Station

Water: The Giant 10th Ramadan Water Station

Orascom Construction – Egypt

웹사이트

www.orascom.com

개요

중동, 아프리카, 미국을 무대로 인프라, 산업 및 상업 부문의 엔지니어링 및 건설업체이다. 2020 회계연도에34억 달러의 연결 수익과 50억 달러의 추정 수익을 창출한 바 있다

직원 수

75,000

기존 참여 프로젝트

Water: Abu Rawash Wastewater Treatment Plant

Water: Hamma Seawater Desalination Plant

Water: Elwha River Water Treatment Facilities

Water: New Cairo Wastewater Treatment Plant

Veolia – Egypt

웹사이트

www.veolia.com

개요

물, 폐기물 및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설계하는 운영 및 보수 업체로2020년에 260억 1000만 유로의 연결 매출을 기록했다

직원 수

179,000(글로벌)

[자료: 업체 홈페이지 및 무역관 자체수집]

 

시사점

 

이집트 정부는 이번 국제회의를 통해 자국의 국제위상을 높이고 관광산업을 대표로 이 외 산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특히 개최지인 샤름엘셰이크는 이집트의 대표 바다 휴양지로 국제회의에 참석한 전세계인들에게 좋은 관광자원을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이번을 계기로 이집트 환경 프로젝트가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EEAA 사이트 등을 통해 프로젝트 정보를 수시로 확인하고 현지 컨트랙터 등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구축하는게 필요하다. KOTRA 카이로무역관에서도 환경기자재 비즈니스상담회 등을 개최해 우리 기업들의 이집트 환경시장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자료: 이집트 환경부, EEAA, UN Trade MAP, MEED , 현지언론 및 무역관 자체수집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