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해외 디자인 뉴스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UAE 신재생에너지 시장동향

UAE 신재생에너지 시장동향



UAE는 발전량 중 80% 이상을 천연가스에 의존하고 있으며 자체 생산량만으로 전력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워 인근 카타르에서 꾸준히 천연가스를 수입하고 있는 ‘에너지 수입국’이다. UAE 정부는 ‘국가혁신전략(UAE National Innovation Strategy)’ 내 7대 핵심산업에 신재생·청정에너지를 포함시켜 중점육성을 천명하는 등 천연가스 일변도의 발전구조에서 탈피하고 전력 발전원을 다변화하기 위해 신재생·청정에너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UAE는 연간 일사량이 2,285kWh/m2로 높고, 지대(地代)가 저렴한 사막지형이 국토의 80%를 차지하고 있어 태양에너지 발전이 가장 활발하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폐기물을 활용한 WTE(Waste To Energy) 방식도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대외적으로는 최근 미국의 파리기후협약 복귀와 EU의 탄소국경세 도입 등 선진국 중심의 환경친화적 정책기조가 강화됨에 따라 UAE 정부와 기업의 신재생에너지 개발 노력도 이전보다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수급 현황

 

UAE는 토후국별 자체 수·전력회사(청)를 보유하고 있으며 규모가 작은 북부 토후국은 통합해 운영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력 관련 프로젝트 추진 시에도 각 토후국이 개별적으로 추진하되 필요에 따라 토후국 간 협업이 이뤄지고 있다.

 

토후국별 유틸리티(수·전력) 담당기관

담당기관

관할지역

상위기관

EWEC

(에미리트 수전력공사)

아부다비

* 북부 토후 전기·수도

관리업무도 일부 수행

ADQ

(아부다비 개발지주회사)

DEWA

(두바이 수전력청)

두바이

두바이 정부

SEWA

(샤르자 수전력청)

샤르자

샤르자 정부

EWE

(에티하드 수전력)

북부 토후

(아즈만·라스알카이마·

푸자이라·움알콰인)

EIA

(에미리트 투자청)

자료 : 각 수전력사 웹사이트 및 현지언론

 

 

UAE는 세계 9위의 천연가스 소비국으로 2020년 기준 연간 발전량 중 84% 가량을 천연가스에 의존하고 있으며 현지 생산에도 불구하고 2008년 이래 순수입국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UAE 천연가스 수급통계

(단위 : 10억 입방미터)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현지 소비량

69.9

70.9

62.5

61.2

68.2

현지 생산량

60.2

61.9

54.1

48.0

55.1

대외 수입량

22.9

22.2

22.4

22.3

22.5

대외 수출량

13.2

13.2

14.0

9.1

9.4

자료 : UAE 연방통계청

 

UAE 전력생산 동향

(단위 : TWh)

에너지원

2016

2017

2018

2019

2020 (e)

천연가스

122.3

124.7

129.7

125.0

113.6

태양광·열

0.3

0.8

1.2

4.2

5.2

원자력

0.0

0.0

0.0

0.0

9.0

석탄

0.0

0.0

0.0

0.0

1.4

석유

1.5

1.6

1.4

0.8

0.9

풍력

0.1 미만

0.1 미만

0.1 미만

0.1 미만

0.1 미만

기타

0.3

0.8

1.1

4.2

5.2

합계

124.5

127.9

133.4

134.2

135.3

자료 : Fitch Solutions (2020년 수치는 예상치)

 

다만, 최근 바라카 원전 1호기 상업운전과 두바이 및 아부다비 내 대형 태양광 설비 가동 등 에너지원 다변화를 위한 UAE 정부의 노력이 계속되며 천연가스 의존도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 UAE의 천연가스 발전비중 : (’18년) 97.2% → (’19년) 93.1% → (’20년) 84.0%

 

전력소비 부문에서는 정부차원의 제조업 육성전략 추진으로 산업용 전력수요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나, 산업생산 시 발생하는 탄소량 감축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활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례로 대표적인 고탄소·에너지집약 산업인 알루미늄 주조의 경우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이미 태양에너지를 활용하기 시작했으며 올해 8월에는 국영 에너지회사 TAQA(아랍어 ‘طاقة’로 에너지를 의미)와 국영 철강회사 Emirates Steel이 그린수소를 활용한 녹색 철강생산을 위해 MoU를 체결했다.

 

국영알루미늄회사 EGA의 Solar 알루미늄 ‘CelestiA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31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34pixel, 세로 663pixel

세계최초 태양에너지로 생산된 알루미늄으로 두바이 MBR 솔라파크에서 생산된 전력(연간 56만 MWh)을 활용하며 생산량은 연간 4만톤 이상. 올해 2월, 독일 자동차 제조사 BMW는 ESG 경영 강화의 일환으로 EGA와 계약을 체결하고 연간 CelestiAL 43,000톤을 구매하기로 결정

자료 : EGA 웹사이트

 

가정·상업용 전력수요의 경우 2016~2018년 현지 노동시장으로의 지속적인 인구유입과 정부의 관광산업 활성화 노력으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으나 최근 코로나 사태가 불러온 고용한파와 관광산업 침체로 전력수요가 다소 감소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UAE 전력수요 동향

(단위 : TWh)

에너지원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e)

2020년(e)

산업용

9.63

10.01

10.50

-

-

가정용

34.74

35.74

36.38

-

-

상업용

43.46

45.46

46.50

-

-

정부

9.03

9.41

9.34

-

-

기타

13.78

13.88

13.67

-

-

합계

110.65

114.49

116.39

121.4

122.3

* 주 :용도별 에너지 소비량은 2018년 수치까지 확인 가능하며 2019~2020년의 합계는 예상치 적용

자료 : UAE 통계청 Bayanat (Electricity consumption by area-sector), Fitch Solutions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개발동향

 

2016-20 UAE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동향

(단위 : US$ 백만,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추진예정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e)

태양

860

163.0

5,066

489.1

42

△99.2

515

1126.2

1,000

94.2

4,835

WTE

0

△100

0

0

1,707

-

226

△86.8

40

△82.3

1,600

수력

0

0

0

0

0

0

391

-

0

△100

400

풍력

0

0

0

0

0

0

0

0

0

0

40

합계

860

△71.8

5,066

489.1

1,749

△65.5

1,132

△35.3

1,040

△8.1

6,875

* 추진예정 : 조사(Study), 검증(FEED), PQ 접수, 보류(On Hold) 등 입찰 전 단계의 프로젝트

* 금액 집계기준 : (’16-’20년) 연도별 Contract Value / (추진예정) Estimated Budget 적용

자료 : Meed Projects

 

1) 태양광·열 : UAE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인근 GCC 지역과 마찬가지로 태양광·열이 견인하고 있다. 최근 5년간(2016~2020) 미발주 건을 포험한 전체 프로젝트 중 태양광·열의 비중은 70% 이상으로 전 분야 중 가장 높다. 이 때문에 대형 PV·CSP 프로젝트 수주여부가 연도별 프로젝트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일례로 2017년에는 ‘무함마드 빈 라시드(MBR) 솔라파크’ 4단계(38.6억 달러)와 Noor Abu Dhabi(12억 달러) 등 대형 PV 프로젝트가 낙찰되며 연간 계약액 규모가 전년 대비 489.1% 증가한 바 있다.

 

태양광·열 프로젝트의 주요 발주처인 아부다비전력공사(AD Power)와 두바이수전력청(DEWA, Dubai Electrcity and Water Authority)은 태양광·열 프로젝트들을 민자발전(IPP, Independent Power Producer) 형태로 발주해 민간 투자자에게 40% 수준의 지분을 허용하고 있다. 아부다비는 토후국 중 가장 넓은 토지를 보유하고 있어 여러 지역에 걸쳐 단일(Standalone) 발전소를 추진하는 반면, 두바이는 메가급 프로젝트인 MBR 솔라파크를 중심으로 집약적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아부다비 주요 태양광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용량(MW)

방식

준공시기

주요기업(국가/역할)

Noor Abu Dhabi (Sweihan)

1,177

PV

’19년 6월

EWEC (UAE/발주)

Marubeni (일본/개발)

Jinko Solar (중국/개발)

Al-Dhafra Solar IPP

2,000

PV

'23년(예정)

EWEC (UAE/발주)

Jinko Solar (중국/개발)

EDF (프랑스/개발)

자료 : Meed Projects

 

두바이 MBR 솔라파크 추진동향

추진단계

용량(MW)

방식

준공시기

주요기업(국가/역할)

 

MBR Solar Park

총 5,000

PV

CSP

'30년(예정)

DEWA(UAE/발주)

 

MBR Phase 1

13

PV

'13년

First Solar(미국/주계약자)

 

MBR Phase 2

(Shuaa Energy)

200

PV

'17년

Acwa Power(사우디/개발사)

TSK(스페인/주계약자)

 

MBR Phase 3

800

PV

'20년

Masdar(UAE/주계약자)

EDF(프랑스/주계약자)

Gransolar(스페인/주계약자)

 

MBR Phase 4

700

CSP

'21년

Acwa Power(사우디/개발사)

Shanghai Electric(중국/주계약자)

Silk Road Fund(중국/파이낸싱)

250

PV

 

MBR Phase 5

900

PV

'21년 (예정)

Acwa Power(사우디/개발사)

Shanghai Electric(중국/주계약자)

*1-5단계 외 총 발전용량 5,000MW 도달 위해 향후 추가 프로젝트 추진될 것으로 예상

자료 : Meed Projects

 

2) 폐기물 발전(WTE, Waste To Energy) : UAE는 중장기 정부전략인 Vision 2021의 환경 부문 이니셔티브인 'National Climate Change Plan(2017-2050)'을 통해 WTE 플랜트의 건설·운영 계획을 수립했으며 실제 토후국 단위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WTE 방식은 기상여건에 영향을 받지 않아 태양·풍력 발전 대비 안정적이며 기존 대부분 매립되고 있는 UAE의 도시 폐기물(Municipal Waste)을 발전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 지속가능성이 높고 환경친화적인 방식이다. WTE는 여타 재생에너지와 달리 각 토후국별로 폐기물 처리를 담당하는 시당국(Municipality)과 정부소유 환경관리회사 등이 프로젝트 주체로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토후별 주요 WTE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토후

처리/발전용량

준공시기

주요기업(국가/역할)

Al Warsan Waste To Energy Plant

두바이

(처리) 190만MT/년

(발전) 200MW

* 세계최대 WTE 플랜트

'23년(예정)

두바이 시청(UAE/발주)

Itochu(일본/개발사)

Hitachi Zosen(일본/주계약자)

Al Dhafra WTE Project (IPP)

아부다비

(처리) 90만MT/년

(발전) 22,500가구 대상 전력공급 가능

’24년(예정)

EWEC(UAE/발주)

TADWEER(UAE/발주처)

* 주계약자 PQ 접수 중

30MW Waste to Energy Plant

샤르자

(처리) 30만MT/년

(발전) 30MW

’21년

Bee’ah(UAE/발주)

Masdar(UAE/발주)

CNIM(프랑스/주계약자)

자료 : Meed Projects

 

3) Clean Coal : UAE 에너지전략 2050(UAE Energy Strategy 2050)의 주요 에너지원(목표발전비중의 12% 차지)으로 단기적으로는 석탄발전 시 발생하는 황산화물 등의 공해를 최소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탄소포집기술(CCUS, Carbon Capture·Utilization·Storage)을 적용해 발전 중 발생하는 탄소를 저감하는 방식이다. 대표적인 프로젝트에는 Hassyan 청정석탄발전소 사업이 있으며 중국 자본이 투자된 최초의 발전 프로젝트로 발전효율을 높이기 위해 초초임계압(Ultra Super Critical) 방식이 적용됐고 완공 시 발전기 4기로부터 총 2,400MW의 전력이 생산돼 두바이 총 전력 수요의 20%를 충당할 예정이다.

 

Hassyan IPP 프로젝트 추진동향

발전방식

규모

(US$ 백만)

발전용량(MW)

준공시기

주요기업(국가/역할)

청정석탄화력

(초초임계압 발전)

2,720

2,400

’22.11월

DEWA(UAE/발주)

ACWA(사우디/개발사)

하얼빈 동력(중국/주계약자)

실크로드 펀드(중국/파이낸싱)*

* 실크로드펀드 : 중국건설은행, 중국농업은행, 중국상공은행 등 중국 은행들로 구성

자료 : Meed Projects · 신화통신(中 관영언론)

 

4) 수소·암모니아 : 2021년 1월, 아부다비 국부펀드 Mubadala와 국영석유회사(ADNOC, Abu Dhabi National Oil Company) 및 아부다비 국영지주사(ADQ) 등 3사의 수소동맹 체결 후 수소에너지 사용 가속화와 수소경제 확립을 위한 로드맵 수립과 관련 프로젝트 추진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와 관련, 800MW급 태양광 발전기를 통해 가동되며 녹색 암모니아 20만MT을 생산할 수 있는 생산설비가 2025년 중으로 아부다비 칼리파산업단지(KIZAD)에 건설될 예정이다. 두바이의 경우도 독일의 Siemens Energy와 협력해 MBR 솔라파크 내 MENA 최초의 녹색수소 생산설비를 건설하고 태양광 전력으로 수소를 생산해 연료전지 차량에 공급할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관련 주요정책

 

1) 연방정부 : UAE 정부는 2017년, 에너지전략 2050 (UAE Energy Strategy 2050)을 수립했으며 오는 2050년까지 에너지믹스 내 청정에너지 비중을 50% 이상으로 높이고 발전(Power Generating) 중 탄소배출량의 70%를 저감하기 위해 총 1,630억 달러를 단계적으로 투입할 계획이다.

 

UAE 에너지전략 2050 목표 에너지믹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e42c7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30pixel, 세로 367pixel

 

자료 : Ministry of Energy & Infrastructure UAE State Energy Report 2019

 

2) 아부다비 : 2006년 아부다비 국부펀드 Mubadala가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Masdar社를 설립했다. 이후 세계최초의 탄소·폐기물 제로(Zero) 도시인 Masdar City 구축과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목표로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고 있다.

 

3) 두바이 : 2015년, 청정에너지전략 2050(Dubai Clean Energy Strategy 2050)을 수립했으며 2050년까지 전력 중 75%를 청정에너지로 공급을 목표로 에너지원 다변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략 이행을 위해 두바이 정부는 272억 달러규모의 Dubai Green Fund를 조성했다.

 

4) 기타 금융지원 : UAE 연방 재무부는 2015년 54.5억 달러 규모의 모하메드 빈 라시드 혁신펀드(MBRIF, Mohammed Bin Rashid Innovation Fund)를 조성하고 이를 에미리트 개발은행(EDB, Emirates Development Bank)에 위탁해 운영하고 있다. MBRIF는 UAE Vision 2021 실현을 위한 혁신산업 육성을 목적으로 금융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MBRIF 개요

선정방식

- 유관분야 민·관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심의위원회를 통해 심사

- 평가항목(가중치) : ①산업적합성(30%) · ②시장성(40%) · ③혁신성(30%)

대출한도

- AED 1백만∼3천만 (USD 27.2만∼817.3만)

상환방식

- (기간) 원금·이자 분할 납부 최대 6년 (거치기간 2년 + 상환기간 4년)

- (금리) ①시중은행 대출 이율 연 6∼7% + ②EDB 보증수수료 연 2∼2.5%

* 대출은 사전 협약 시중은행(RAK BANK 등) 통해서 지원

* 보증 수수료는 EDB에 별도 납부

특이사항

- UAE 내에서 추진되는 사업이라면 외국인(기업)도 지원 가능

- 제안된 사업 건에 따라 담보물 요구 가능

자료 : 연방 재무부 · MBRIF 웹사이트

 

주요국 진출동향

 

1) 중국 : UAE의 태양광 프로젝트 중 다수가 IPP 방식으로 발주되며 전력 공급가 경쟁 입찰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매회 공급가가 하향되고 있으며 해당 방식 하 저가공세를 앞세운 중국 기업들이 태양광 프로젝트를 다수 수주하고 있는 상황이다. 아울러, 중국-UAE 간 일대일로(BRI, Belt and Road Initiative) 협력을 계기로 중국 측 자본의 유입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중국기업이 참여한 주요 태양광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추진지역)

전력공급가

(USCents/kWh)

계약시기

참여 중국기업(역할)

Noor Abu Dhabi PV

(아부다비 Sweihan)

2.94

’17.5월

Jinko Solar(개발사)

MBR 솔라파크 5단계

(두바이)

1.70

’20.5월

Shanghai Electric (주계약자)

Al Dhafra PV

(아부다비 Al Dhafra)

1.35

* 세계 최저가낙찰

’20.7월

Jinko Solar(개발사)

자료 : MEED Projects

 

2) 일본 : Hitachi Zosen 등 폐기물 발전 분야 내 프로젝트 추진 경험이 풍부한 기업들이 유럽 등 인근 시장에서의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현지 WTE 프로젝트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현재 Hitachi Zosen과 Itochu 양 사는 세르비아에 30MW급 WTE 플랜트를 건설하고 있으며 해당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최대 규모의 WTE 플랜트인 두바이 ‘Al Warsan Waste To Energy Plant’ 프로젝트의 건설·운영권(35년)을 수주한 바 있다.

 

Al Warsan Waste To Energy Plant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명

(추진지역)

계약액

(US$ 백만)

용량

계약시기

참여 일본기업(역할)

Al Warsan Waste

To Energy Plant

(두바이)

1,100

(처리) 190만MT/년

(발전) 200MW

’18.1월

Itochu(개발사)

Hitachi Zosen(주계약자)

자료 : MEED Projects

 

3) 한국 : 현재까지 UAE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핵심 분야인 태양광·WTE 관련 프로젝트를 수주한 사례는 없는 상황이다. 다만, 지난 2018년 삼성엔지니어링이 루와이스 공단 내 폐열회수발전 프로젝트를 수주한 바 있다.

 

* 폐열회수발전 :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등 버려지는 중·저온의 열 에너지(폐열)을 회수해 이를 열전효과를 이용해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방식

① 열에너지 회수

② 열전(Thermolectric)발전

③ 에너지 재사용

 

루와이스 폐열회수발전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명

(추진지역)

발주처

분야

금액

(US$ 백만)

수주

년도

주요내용

ADNOC Waste Heat Recovery Project

(아부다비 루와이스)

ADNOC Refining

폐열회수

500

’18

·(수주기업) 삼성ENG

·(건설기간) ’18.03-’23.06

·(금액) US$ 5억

·(발전용량) 230MW

·(담수생산) 시간당 2,600 m3

자료 : Meed Projects

 

발주 예정 프로젝트

 

1) 태양에너지

 

Abu Dhabi Third Solar IPP

발주처

· AD Power & EWEC

금액

· US$ 11.25억

재원

· 민자발전산업(IPP)

입찰방식

· 경쟁입찰

공사기간

· 2023.07 – 2026.12

사업계획

· Noor Abu Dhabi(Sweihan)과 Al Dhafra 태양광 발전소에 이은 3번째 IPP PV 발전설비로 발전용량은 1,500MW

· 2022년 11월 PQ 및 2023년 3월 입찰 진행예정

 

200MW Solar PV Power Plant in Ras Al Khaimah

발주처

· Etihad WE

금액

· US$ 4억

재원

· 민자발전산업(IPP)

입찰방식

· 경쟁입찰

공사기간

· 2023.07 – 2026.11

사업계획

· 200MW급 PV 발전설비 구축 프로젝트

· 2022년 11월 PQ 및 2023년 3월 입찰 진행예정

 

Solar PV IPP at Umm al-Quwain

발주처

· Etihad WE

금액

· US$ 3.7억

재원

· 민자발전산업(IPP)

입찰방식

· 경쟁입찰

공사기간

· 2021.11 – 2025.06

사업계획

· 500MW급 PV 발전설비 구축 프로젝트로 향후 선정된 개발사는 프로젝트 착수를 위해 특수목적회사(SPV)를 설립하게 되며 개발사와 움알콰인 정부가 40:60의 지분을 보유하게 됨.

· 한편, 설비 준공 후 Etihad WE는 오프테이커로서 SPV 측과 장기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하게 됨

· 2021년 6월 PQ 및 2021년 7월 입찰 진행예정

 

2) 폐기물 활용 발전

 

Al Ain Waste to Energy Plant

발주처

· AD Power & EWEC

금액

· US$ 2억

재원

· N/A

입찰방식

· 경쟁 입찰

공사기간

· 2023.06 – 2024.06

사업계획

· 연간 폐기물 처리용량 60만톤 및 발전용량 60MW급의 WTE 플랜트

· 1) 폐기물 에너지 공장 건설 2) 폐기물 벙커 건설 3) 배수설비 구축 4) 하역시설 공사 5) 바닥재 저장시설 건설 6) 관련 시설의 건설 순으로 진행예정

· 2022년 11월 PQ 및 2023년 3월 입찰 진행예정

 

Waste to Hydrogen Plant in Sharjah

발주처

· Bee’ah

금액

· US$ 1.8억

재원

· N/A

입찰방식

· N/A

공사기간

· 2023.06 – 2026.06

사업계획

· Chinook Sciences LLC를 기술제공자(Technology Provider)로 선정

· 1) 녹색수소발전소 건설 2) 수소차 충전소 건설 3) 보관시설 건설 4) 공기 압축기 설치 5) 프로세스 히터 시스템 설치 6) 인프라 작동 7) 관련시설 건설 순으로 추진

· 상세 프로젝트 추진일정은 추후 공개 예정

 

3) 풍력에너지

 

Wind Power Plant in Hatta

발주처

· DEWA

금액

· US$ 4천만

재원

· N/A

입찰방식

· 경쟁입찰

공사기간

· 2023.07 – 2025.12

사업계획

· 1) 풍력발전소 건설 2) 터빈 기초공사 3) 변전소 건설 4) 진입로 건설 5) 풍력 터빈 설치 6) 전기공급장치 설치 7) 풍력발전기 설치 8) 변압기, 나셀(nacelles) 및 발전기 설치 9) 송전선 배치 순으로 진행 예정

· UAE 최초의 풍력 발전 프로젝트

· 2022년 12월 PQ 접수 및 2023년 3월 입찰 진행예정

자료 : Meed Projects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주요 발주처

 

1) 정부기관

 

 

기관명

· EWEC(Emirates Water & Electricity Co.)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f8251d.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7pixel, 세로 87pixel

기관성격

· 공기업

담당업무

· 아부다비 지역 수·전력관리 및 관련 프로젝트 총괄

홈페이지

· http://www.ewec.ae/en

대표이메일

· info@ewec.ae

대표전화

· +971-2-694-3333

최신동향

· 2018년 11월, 아부다비 수전력공사ADWEC(Abu Dhabi Water & Electricity Company)를 EWEC로 전환

주요발주 프로젝트

· Al Dhafra Second Solar IPP

· Al Mirfa Second IWP

· Al Dhafra Waste-To-Energy Project

· Shuweihat 4 IWP

· Sweihan Photovoltaic IPP

 

기관명

· DEWA(Dubai Electiricy & Water Authority)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f8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6pixel, 세로 78pixel

기관성격

· 공공기관 (두바이)

담당업무

· 두바이 지역 수·전력관리 및 관련 프로젝트 총괄

홈페이지

· https://www.dewa.gov.ae/

대표이메일

· (계약&조달) contracts@dewa.gov.ae

· (소비자센터) customercare@dewa.gov.ae

대표전화

· (계약&조달) +971-4-515-1404

· (소비자센터) +971-4-601-9999

최신동향

· 독일 지멘스(Simens)와 함께 세계 최대 단일규모 태양광 발전소 MBR 솔라파크 부지 내에 MENA 최초 녹색수소 파일럿 설비 구축

· 2021년 8월,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통치자가 참관한 가운데, MBR 솔라파크 Phase 5 중 첫 단계인 300MW급 설비를 시운전

주요발주 프로젝트

· Mohammad Bin Rashid Al Maktoum Solar Park

· Hassyan IWP

· IGCC Power & Desalination Plant

 

기관명

· Etihad WE(Etihad Water & Electricity)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f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22pixel, 세로 86pixel

기관성격

· 공공기관 (연방)

담당업무

· 북부 지역 수·전력관리 및 관력 프로젝트 총괄

홈페이지

· https://etihadwe.ae/en/Pages/default.aspx

대표이메일

· cs@etihadwe.ae

대표전화

· +971-800-3392

최신동향

· 2020.2월 연방법 제31조(Federal Decree-Law No. (31) of 2020)에 의거, 연방수전력청(FEWA)의 소유권이 에미레이트 투자청(Emirates Investment Authority)으로 이관되며 사명을 변경

주요발주 프로젝트

· 2480MW Combined Cycle Power Plant in Ras Al Khaimah

· Coal Fired IPP 1800MW in RAK

· Ajman Power & Desalination Plant

 

기관명

· DM(Dubai Municipality)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31c31a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6pixel, 세로 77pixel

기관성격

· 두바이 정부기관 (시청)

담당업무

· 두바이 내 폐기물 처리 WTE 발전소 구축 등 환경 관련 프로젝트 총괄

홈페이지

· https://www.dm.gov.ae/

대표이메일

· info@dm.gov.ae

대표전화

· +971-800-900

최신동향

· 2018.2월 기존 ADWEA(Abu Dhabi Water & Electricity Authority)가 에너지부(DOE)로 통합

주요발주 프로젝트

· Al Warsan Waste To Energy Plant

· Biogas Plant for Warsan Sewage Treatment Plant

· 12MW Waste to Energy Treatment Plant in Al-Qusais

자료 : 각 기관별 웹사이트 및 MEED Projects

 

2) 주요기업

 

기업명

Masdar(Abu Dhabi Future Energy Company)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9428e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2pixel, 세로 50pixel

분야

태양광, 풍력, 폐기물 등 신재생에너지 전반

주요내용

· 설립년도 : 2006 (아부다비 정부 소유)

· 종업원수 : N/A

· 담당업무 : UAE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개발

홈페이지

· https://masdar.ae/en

대표이메일

· info@masdar.ae

대표전화

· +971-2-653-3333

최신동향

· 단일부지 최대규모 태양광 발전소인 아부다비 알 다프라(Al Dhafra) 태양광 프로젝트 추진

· UAE(11개), 영국(4개), 이집트(4개), 캐리비안(3개), 미국(2개) 등 세계 각지에서 프로젝트 수행 중

 

기업명

Bee’ah(Sharjah Environment Company LLC)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9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8pixel, 세로 163pixel

분야

폐기물

주요내용

· 설립년도 : 2007 (샤르자 정부 소유)

· 종업원수 : 약 6,000명

· 담당업무 : 폐기물 수집 및 처리, 재활용, 환경 컨설팅 및 연구 등

홈페이지

· https://beeah.ae/en

대표이메일

· info@beeah.ae

대표전화

· +971-6-572-9000

최신동향

· ’21.5월 영국 Chinook Sciences와 공동으로 역내 최초의 폐기물 수소화 발전소 프로젝트 추진 발표

 

기업명

Tadweer(Tadweer Waste Treatment LLC)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94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9pixel, 세로 80pixel

분야

폐기물

주요내용

· 설립년도 : 2005 (아부다비 정보 소유)

· 종업원수 : 약 600명

· 담당업무 : 폐기물 통합 관리, 재활용, 환경문제 연구 등

홈페이지

· https://www.tadweer.gov.ae/en/Pages/default.aspx

대표이메일

· info@tadweer.com

대표전화

· +971-4-333-3414

최신동향

· ’21.6월 목재 폐기물 회수 및 재활용 시설 네트워크 구축 계획 발표

자료 : 각 기관별 웹사이트, MEED Projects 및 현지언론

 

전망 및 시사점

 

UAE 정부는 오는 2050년까지 에너지믹스 내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44% 수준으로 확대하기 위해 지원과 투자를 강화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관련 시장규모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수요가 가장 큰 태양광·열 부문은 글로벌 태양광 모듈 1위 업체인 Jinko Solar와 Shanghai Electric 등의 중국기업들이 저가공세를 바탕으로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상황으로 경쟁이 불가피하다.

 

중국정부가 재생에너지 보조금을 지속적으로 증액함에 따라 향후 중국 업체들의 저가공세는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와 관련, 한 업계 관계자도 “중국산 태양광 모듈이 한국산 대비 20% 가량 저렴해 경쟁이 쉽지 않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 때문에 UAE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고출력·고효율의 차별화된 제품과 기술력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아부다비 대비 보유 토지가 넓지 않음에도 전력소비는 높은 두바이는 장기적으로는 단위면적 당 발전효율이 높은 제품을 선호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제조업 내 청정에너지 활용도 유망하다. 알루미늄과 철강, 석유 다운스트림 등 현재 UAE가 주력으로 삼고 있는 제조산업은 에너지 집약적이고 탄소배출량도 높아 지속가능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청정에너지 활용해 이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태양에너지를 활용한 알루미늄 주조와 그린수소를 활용한 저탄소 철강 생산이 대표적이며 공정 시 발생하는 부생가스의 수소화 등 CCUS와 수소환원제철 관련 기술·설비에 정부/기업 차원의 관심이 높아 향후 해당 분야에서 적지 않은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 Fitch Solutions, Meed Projects, 현지 언론(Gulf News, The National, WAM), UAE 통계청, UAE 정부 웹사이트 및 두바이무역관 자료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designdb logo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