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 예산안 발표
ㅇ 2018 회계연도 예산 현황
- 싱가포르 재정부 장관 Heng Swee Keat이 2019년 2월 18일 2019년도 싱가포르 정부 예산안을 발표함.
- 3.2%의 경제성장률을 보인 2018 회계연도는 6억 싱가포르 달러의 적자를 기록할 것이란 예상과 달리 총 21억 싱가포르 달러(GDP의 0.4%)의 예산 흑자 달성
- 이는 쿠알라룸프르-싱가포르 고속철(High-Speed Rail, HSR) 프로젝트의 2년간 연기와 예상 보다 높은 인지세(Stamp duty) 수입으로 인한 정부 지출의 감소가 요인임.
ㅇ 2019 회계연도 예산 전망
- 싱가포르 정부는 2019년도에도 확장적 재정정책을 이어갈 반면 올해 35억 싱가포르 달러(GDP의 0.7%)의 적자를 예상함.
- 2019년도 총 예산의 약 30%가 국방, 안보와 외교 분야에 쓰일 예정
2019 회계연도 예상 싱가포르 정부 지출

자료: Channel NewsAsia
□ 2019 예산안 주요 내용
- 2019 싱가포르 예산안은 싱가포르 기업 혁신과 성장 촉진, 싱가포르 노동자의 생산성 향상, 복지정책 개선을 통한 사회적 기반 강화로 ‘강하고 하나된 싱가포르의 건설(Building A Strong, United Singapore)’를 목표로 함.
- 2019 예산안 주요 내용 중 경제 발전 정책과 세금 제도의 변화를 중점으로 소개함.
2019 예산안 요약
.jpg)
자료: 싱가포르 예산안 공식 웹사이트 Budget 2019
활기찬 혁신 경제(A Vibrant and Innovative Economy)
- 싱가포르 재정부 장관 Heng Swee Keat은 생산성과 노동력 향상을 위한 경재 개발 정책의 일환으로 향후 3년간 46억 싱가포르 달러를 소비할 예정이라고 밝힘.
- Retraining을 통한 재직자와 장년층의 고가치 분야 진출과 신기술 습득, 기업의 재정적 지원
과 기업가 정신 장려, 디지털화와 자동화를 통한 생산력 증가를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생존과
지속가능성을 지원할 계획
1) 기업 역량 개발 (Building Deep Enterprise Capabilities)
ㅇ Scale-up SG Programme
- 싱가포르 기업청(Enterprise Singapore)이 공공분야와 사적분야의 협력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는 싱가포르 국내 기업의 혁신과 성장, 세계화를 지원함
ㅇ Innovation Agents programme
- 2년간 시범 운영할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기업들이 숙련된 산업전문가들의 혁신과 상업화 관련 지식과 조언을 얻을 수 있도록 지원
ㅇ SME Co-Investment Fund III
- 규모를 키우고자 하는 중소중견기업을 위해 1억 싱가포르 달러의 투자금 추가 지원
ㅇ 중소기업 재정적 지원(Enterprise Financing Scheme, EFS)의 확대
- 2016년 시행된 SME Working Capital Loan 2021년 3월 31일까지 연장
- 2019년 10월 시행할 EFS는 SME Working Capital Loan을 포함할 예정
- 법인 설립 5년 이내의 신생기업을 위한 지원 확대
ㅇ 중소기업 디지털 역량 강화(SMEs Go Digital Programme) 프로그램 확대
- Industry Digital Plans의 더 다양한 분야 지원
- 인공지능과 사이버보안 등 더 많은 디지털 솔루션 제공
ㅇ Digital Services Lab(DSL)
- 3년 동안 시범 운영 될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서비스 분야의 디지털화 지원
ㅇ Automation Support Package(ASP) 확대
- 정부보조금, 세금, 대출을 통해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동화를 지원하는 ASP 프로그램 2021년 3월 31일까지 연장
2) 노동자 대상 지원 프로그램(Helping Our People Seize Opportunities)
ㅇ New Professional Conversion Programmes
- 전문직 종사자의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개발 등의 새로운 분야 진출 도움
ㅇ Career Support Programme(CSP)
- 40세 이상의 해임을 당했거나 장기간 실직상태인 싱가포르 국민을 고용하는 기업에게 금전적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 2021년 3월 21까지 2년 연장
ㅇ 자국민 고용 장려 정책
- 서비스 분야 외국인 고용의존비율(Reduce Dependency Ratio Ceiling) 축소방침 발표
- KOTRA 해외시장뉴스 ‘2019년 싱가포르 노동부 고용정책 변화’ 참고 (클릭)
3) 국내외 파트너십 구축(Partnering to Win)
ㅇ Local Enterprise and Association Development programme(LEAD)
- LEAD 프로그램을 통해 무역협회 및 상공회의소가 더 전략적이고 장기적인 계획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
ㅇ Global Innovation Alliance(GIA)
- 세계적 스타트업 허브인 방콕, 베이징, 베를린, 자카르타, 샌프란시스코 등에서 기업가와 학생들에게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할 기회 제공
ㅇ Framework for secure exchange of electronic trade documents
- 전자무역문서의 정보보안성 장려 통해 생산성 향상 목표
4) 세계와 아시아의 기술, 혁신 및 기업을 잇는 싱가포르(Global-Asia Node of Technology, Innovation and Enterprise)
ㅇ 아쿠아컬쳐 및 에너지 분야 혁신 센터 설립 예정
- 이노베이션 센터(Centres of Innovation, COIs)는 실험 시설의 제공과 컨설팅 및 트레이닝을 통해 중소중견기업과 스타트업의 기술 혁신을 돕는 기관으로 두 개의 아쿠아컬쳐 및 에너지 분야 혁신 센터가 설립될 예정
- 아쿠아컬쳐 혁신센터는 관련 분야의 성장과 세계화를 목표로 함.
ㅇ Global Ready Talent Programme(GRTP)
- 싱가포르 청년과 국내 기업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인턴십과 Management Associate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
ㅇ 혁신도시 싱가포르 입지 강화 위한 노력
- Singapore Week of Innovation and Technology(SWITCH)와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벌
(SFF)을 11월 중순 한 주에 개최할 예정
□ 주요 세금제도 변화
2019 예산안 발표에 따른 세금 변화
- 싱가포르 정부가 재정적으로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미래(A Fiscally Sustainable & Secure Future)를 위해 더 혁신적이고 탄력적인 세금 제도를 발표함.
ㅇ 기업 대상 세금 변화
변동 사항 | 내용 |
지적재산권(IPRs) 취득 관련 비용의 세금공제(WDA) 허용 5년 연장 | 싱가포르 소득세법 19B조항에 따라 회계연도 2025년 이전 지적재산권 취득으로 인해 발생한 자본적 지출에 한해 세금공제 혜택을 제공함. 이는 지식경제에서 지적재산권이 지니는 가치의 중요성에 따른 방침임. |
- 자세한 사항은 싱가포르 국세청(IRAS) 참고 (클릭)
ㅇ 여행자 대상 수입품 관세 감면 축소
| 수입품 관세 면제 금액 |
국외 체류 시간 | 변경 전 | 개정 후 (2019년 2월 19일 부터) |
48 시간 미만 | $150 | $100 |
48 시간 이상 | $600 | $500 |
ㅇ 주류 상품 면세 한도 감소
| 변경 전 | 변경 후 (2019년 4월 1일 부터) |
면세 한도 | 3 리터 | 2 리터 |
ㅇ 디젤세 변화
- 2019 예산안 주요 목표 중 하나인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정책(A global city and Home for all)의 일환으로 디젤세를 재구성함.
| 변경 전 | 변경 후 |
디젤 소비세 | 리터당 S$ 0.10 | 리터당 S$ 0.20 |
디젤 차량 연간 특별세 |
디젤 자동차 | 디젤 택시 |
S$100 감소 | S$850 감소 |
디젤차량 세금 리베이트 제도 |
ㅇ 상업용 디젤 차량 - 2022년까지 100%, 75%, 50%의 도로세 리베이트 예정 ㅇ 학생운송용 디젤 버스 - 2022년까지 S$1,800, S$900, S$500의 추가 캐쉬 리베이트(Cash rebate) 예정 |
B. 2020 싱가포르 상품서비스세(Goods and Services Tax, GST) 변화
1) GST 인상 및 과세대상 확대
- 싱가포르 정부가 2021년~2025년 사이에 GST를 현 7%에서 2% 인상한 9%로 올릴 예정이라고 2018년 예산안 발표에 이어 다시 한번 밝힘.
2) 수입서비스 대리납부제(Reverse charge)
- 2020년 1월 1일 부로 실시할 수입서비스 대리납부제는 수입 해외서비스를 제공하는 Business-to-Business(B2B) 공급자의 대리납부제와 수입 해외디지털서비스를 제공하는 Business-to-Consumer(B2C) 해외공급자 등록을 통해 이루어짐.
ㅇ 영향
- 현재 7%의 GST를 부과하는 국내 서비스공급자와 달리 모든 해외 서비스공급자가 GST 적용대상이 아님.
- 이로 인해 국내 서비스공급자와 해외 서비스공급자 간 발생하는 경쟁왜곡을 줄이기 위해 대리
납부제를 실시함으로써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함.
수입서비스공급자의 대리납부제 적용 여부
| | 소비자 위치 |
| | 국내 거주 | 국외 거주 |
소비자 분류 | GST 등록 기업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개인 소비자 | 7% GST 부과 의무 (2020년 1월 1일부터) | 해당사항 없음 |
- 적용 대상 서비스의 예: 마케팅, 회계, IT, 법률, 인사, 경영, 로열티 몇 면허, 컨설팅 등
- 적용 대상 디지털서비스의 예: 해외 디지털 콘텐츠(모바일 어플리케이션, e-book, 영화), 구독서비스(뉴스, 잡지, 방송 스트리밍, 음악, 온라인 게임), 소프트웨어 등
□ 전망 및 시사점
ㅇ 예산안으로 보는 싱가포르 이슈
- 예산안을 통해 싱가포르 정부가 추구하는 사회경제의 발전 방향과 목표, 세계 경제의 트렌드를 엿볼 수 있음. 싱가포르 정부는 올해 인구 노령화, 사회적 이동성, 불평등, 경제 변혁과 기후 변화 등에 집중하여 예산을 집행할 예정임.
ㅇ 전문가들의 2019 예산안 반응
- Ernst & Young 싱가포르의 B씨는 이번 예산안의 중점이 직무 재설계(Redesigning jobs)와 국민의 재숙련(Reskilling)이라고 밝힘.
- PwC 싱가포르의 C씨는 싱가포르 정부의 외국인 고용 의존도(DRC)를 낮추려는 노력이 중기적인 해결책이라고 밝힘.
- KPMG 싱가포르의 P씨는 싱가포르 정부의 기업 디지털화에 찬성하나 그에 따른 사이버 공격에 대비하는 사이버 보안 정책의 필요성을 촉구함.
- 여행자 대상 수입품 관세 감면 축소 방안에 대해 PwC 싱가포르의 K씨는 여행자를 통한 수입 규제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이라고 함.
ㅇ 싱가포르 진출 우리 기업, 비용 인상 전망
- 탄소세(2019년 1월 1일 실시)와 디젤세, 도입 예정인 수입서비스세와 GST 인상과 같은 정책이기업의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함.
- 국내 서비스 및 디지털 서비스를 싱가포르에 공급하는 우리 기업은 수입서비스의 종류와 총 수입, 공급 날짜 등 에 따른 수입서비스 대리납부제 적용 여부와 등록 절차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
- 싱가포르 국세청(IRAS)에서 GST 등록 및 부과 여부 참고
- GST 인상으로 우리 기업의 현금흐름과 판매가격, 계약서 작성, 유통 과정 등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
- 자국민 고용을 장려하기 위한 외국인 고용 의존도 축소 방침으로 서비스 분야의 외국인 일자리가 감소하게 되면서 기업의 고용 비용이 증가할 수 있음.
ㅇ 정부 차원 지원 통한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 기회
- 급성장하는 아세안 시장과 세계를 잇고자 하는 싱가포르 정부가 자국 기업의 해외 진출을 장려하면서 한국 기업과의 협력 또한 유망함.
- 스마트 국가 이니셔티브와 핀테크 산업 육성정책 등 신기술의 발전과 디지털 기술 활용에 주력하는 싱가포르와 한국의 IT 분야 스타트업이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양국의 제3국 진출을 도모할 수 있음.
- 싱가포르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기업은 5월 13일 서명한 한-싱가포르 이중과세방지 개정협정 참고 바람
- 외교부 한-싱가포르 이중과세방지 개정 협정 서명 보도자료 참고 (클릭)
자료: Budget 2019, 싱가포르 국세청(IRAS), 싱가포르 재무부(MOF), Singapore Business Review(SBR), The Straits Times, Business Times, Channel News Asia, KPMG Tax , Grant Thornton,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