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을 배려하는 착한 디자인, 에코 디자인(Eco-Design)
- 환경에 대한 높아진 관심이 자연스럽게 디자인으로 이동, 관련 상품 수요 확대 -
- 친환경 소재, 세련된 디자인 등 트렌드에 부합하는 중국시장 진출전략 필요 -

자료원: 百度(바이두)
□ 에코 디자인(Eco-Design)이란?
○ 제품의 전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환경 피해를 줄이면서 제품 기능과 품질 경쟁력을 높이도록 하는 환경 친화 디자인을 말함.
- 에코 디자인 3대 핵심요소는 3R(Reduce(줄이기), Reuse(재사용), Recycle(재활용))임.
- 에코 디자인의 핵심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힘을 실어주는데 있음.
에코 디자인의 주요 3대 사항
자료원: KOTRA 광저우 무역관 정리
□ 에코 디자인의 종류와 범위
○ 에코 디자인의 종류와 범위는 끝이 없지만 비교적 실생활 속에서 쉽게 보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제품 디자인, 건축디자인, 패션디자인으로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음.
분야
|
사례
|
제품디자인
|
|
에코백(ECOBAG)
- 친환경을 강조하며 합성섬유나 인조피혁 대신 천으로 만든 가방
|
건축디자인
|
|
에코아크(ECOARK)
- 페트병 150만 개를 재활용한 건물로 안전하고 효율적이면서도 지속 가능한 친환경 건축
|
패션디자인
|

|
피플트리(People Tree)
- 친환경적이면서 윤리적인 옷을 만들자는 취지하에 설립한 패션브랜드로, 유기농직물과 재활용 소재를 이용해 수작업을 통해 제작
|
자료원: 百度(바이두), KOTRA 광저우 무역관 정리
□ 중국 에코 디자인 배경
○ 환경적인 부분
- 중국은 경제가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환경오염 문제도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음.
- 중국은 이미 세계에서 농업 폐기물 산출량이 가장 많은 국가이며 환경문제도 상당히 심각한 상태임.
전국 폐수 및 주요 오염물 배출 현황
|
배출원(배출량)
|
합계
|
공업
|
농업
|
도시생활
|
집중 오염시설
|
2011
|
폐수(억 톤)
|
659.2
|
230.9
|
-
|
|
0.4
|
|
화학적 산소 요구량(만 톤)
|
2499.9
|
354.8
|
1186.1
|
938.8
|
620.1
|
암모니아질소(만 톤)
|
260.4
|
28.1
|
82.7
|
147.7
|
2
|
2012
|
폐수(억 톤)
|
684.8
|
221.6
|
-
|
462.7
|
0.5
|
|
화학적 산소 요구량(만 톤)
|
2423.7
|
338.5
|
1153.8
|
912.8
|
18.7
|
암모니아질소(만 톤)
|
253.6
|
26.4
|
80.6
|
144.6
|
1.9
|
변화율(%)
|
폐수
|
3.9
|
-4.0
|
-
|
8.1
|
-
|
|
화학적 산소 요구량
|
-3.0
|
-4.6
|
-2.7
|
-2.8
|
-
|
암모니아질소
|
-2.6
|
-6.0
|
-2.5
|
-2.1
|
-
|
자료원: 中华人民共和国环境保护部
전국 이산화유황(SO₂) 배출량
(단위: 만 톤)
|
합계
|
공업
|
도시생활
|
집중오염시설
|
2011
|
2217.9
|
2017.2
|
200.4
|
0.3
|
2012
|
2117.6
|
1911.7
|
205.7
|
0.3
|
변화율(%)
|
-4.5
|
-5.2
|
2.6
|
-
|
자료원: 中华人民共和国环境保护部
- 산업화 추세 속에 환경을 생각하는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을 추진하는 것이 중국 정부 정책의 주안점임.
- 중국 기업은 여전히 에너지 소비가 많고 낭비가 심하며, 에너지분야의 경쟁력이 낮은 상태
- 에너지자원 재활용률이 세계 선진국 수준으로 도달한다면 매년 3억 톤의 석탄 소모를 줄일 수 있고 대기오염에 큰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쓰레기 감소에도 큰 효과가 있음.
○ 학술연구부문
-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각 분야에서는 재생과 재활용이 강조된 에코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21세기 경제성장의 신동력으로 알려지자 중국도 관련 연구를 시도하고 있음.
- 관련 제품 에코디자인의 기본 이론, 방법, 전략 등은 아직 미미한 상태이며 국외 연구와 비교해볼 때 자체연구의 부족, 응용단계의 부족을 들 수 있음.
- 현재의 연구기구는 대부분 민간과 교육단체가 자발적으로 조성된 것으로 자금, 사회영향, 업계의 관심이 절실한 상태임.
□ 중국, 에코디자인 관련 법률과 육성정책
○ 중국은 1993년 8월 25일 환경마크를 아래와 같이 정식으로 획득했으며 1995년에는 ''중국21세기의정-중국 21세기인구, 환경과 발전백서''를 제정해 폐기물 배출량의 대한 기본적인 제한을 실시
- 2003년 1월 1일부터는 ''중화인민공화국 청결 생산 촉진법''이 시행돼 중국 내 처음으로 자원 재활용 제고, 오염예방을 주요 과제로 기업 규제, 친환경적 생산관련 법률로 이를 규제함.
중국 환경 마크

자료원: 国家环保总局
- 중국의 에코디자인 관련 입법은 아직 기초단계에 있으며 관련 오염예방, 자원종합이용에 대한 규정이 있고, 환경법 중에서도 에코디자인의 관련 내용을 규정했으며 법률 조항에서도 에코디자인 제품에 관한 규정이 있음.
- 하지만 기초적인 단계로 산업에 대한 영향력은 아직 미미한 편이며, 특히 제품 에코디자인에 관한 법규와 세부적인 규칙이 없는 실정임.
- 에코디자인을 발전시키는 것은 재정, 세수, 금융, 투자, 무역, 자원회수, 과학기술, 교육과 기업경영 등 영향을 줌과 동시에 포장, 쓰레기처리, 건축, 식품, 화학품, 가정용 전기기구와 같은 영역에도 관계되는데 이런 영역 내에 여전히 적지 않은 법률상의 공백이 존재하고 있음.
중국의 에코디자인 관련 법규 및 육성정책
실시 연도
|
관련 법규
|
1995.8
|
중국21세기의정-중국21세기인구,환경과 발전백서
|
2003.1
|
중국인민공화국 청결 생산 촉진법
|
2006.2
|
자동차 제품 회수 이용 기술 정책
|
2006.3
|
전자 정보 제품 오염 공제 관리 방법
|
2006.4
|
폐기된 가정용 전기기구와 전자제품 오염방지 기술 정책
|
2007.5
|
재생 자원 회수 관리 방법
|
2008.4
|
중화인민 공화국 에너지 절약법
|
2012.6
|
12·5 에너지 절약 및 친환경산업 발전규획
|
2013.9
|
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산업 발전에 대한 의견
|
2013.9
|
대기오염 치료 행동 계획
|
자료원: 中国环保网
□ 중국 기업의 에코 디자인 적용 사례
기업명
|
제품명
|
제품사진
|
특색
|
스즈바오전궁팡
(適之寶枕工坊)
|
친환경 천연 베개
|
|
천연소재의 기능성 베개, 천연 기능성 베갯속은 결명자, 국화, 면화, 메밀, 녹차, 라벤더 등이며, 1500여 종의 천연 침구 제품을 설계·생산해 CCTV 등 중요 언론매체의 주목을 받음.
|
Haier
|
환경보호를 위한
드럼 세탁기
|
|
가루비누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보호를 위한 드럼세탁기''는 수질오염 감소, 절전 50%, 절수 50%를 실현했으며, 자동적으로 살균소독할 수 있어 인체건강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환경보호의 효과가 있음.
|
이화그룹
(利華)
|
저탄소 의류
|
|
의류 에너지소비량은 1.05톤 표준석탄에 달하기에 에너지 절약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의류업계 선두기업은 저탄소 의류 위주로 운영하며 갈수록 많은 각 업계 인사가 저탄소 의류를 홍보함.
|
BYD
|
친환경 전기자동차
|

|
EV(전기자동차)나 HEV(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배터리만으로 약 100㎞, 두 엔진을 모두 이용할 경우 약 580㎞ 주행이 가능, F3DM에 적용된 리튬 배터리는 일반 전원을 이용한 충전에 7시간이 걸리며, 전용 충전소에서는 10분만에 50%까지 급속 충전 가능
|
CIMIC
|
친환경
인테리어 자재
|

|
음이온 방출을 통해 삼림욕 효과를 낼 수 있는 인테리어 자재를 선보임. CIMIC의 인테리어 자재를 설치한 공간에서는 음이온 농도가 6000개/㎤ 이상으로, 세계보건기구 기준인 1000개/㎤를 6배 초과함.
|
자료원: 百度(바이두)
□ 한국 기업에는 중요한 기회, 중국 에코 디자인이 직면한 문제점
○ 디자인 이념의 부족
- 중국의 기업은 제품 디자인영역에서 제품조형 디자인 등의 요소를 중시해 제품 에코디자인의 관념에서의 디자인 접근은 아직 못하고 있는 실정임.
- 에코 디자인 의식이 부족한 동시에 에코디자인 이론의 연구발전이 미미해 에코디자인 이론과 실제응용의 발전이 더딘 편임.
○ 에코 디자인의 과학표준체계 부족
- 중국 기업이 에코 디자인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문제는 기업의 과학기술 연구개발 기초와 경제기초가 해외기업에 비해 빈약한 동시에 표준체계를 확립하지 못함.
- 이 측면에서 연구방법이 부족해 에코디자인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지 않으며 짧은 시간 내에 자신의 에코 디자인 제품 콘셉트를 잡기 힘듦.
○ 종합적으로 제품 에코 디자인을 적용하는 디자인기업이 부족
- 에코 디자인은 세계 디자인의 트랜드이고 관련 법률, 법규의 출현, 실행과 함께 친환경제품의 시장수요는 갈수록 많아지고 환경 요구에 맞지 않은 제품은 도태되는 실정임.
- 제품에 에코디자인을 적용함으로써 제품의 환경요소를 찾아내고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평가를 진행하고 에코 디자인을 제품에 대한 교류 및 합작 프로젝트를 통해 보다 빠른시간 내에 합당한 인원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음.
□ 에코 디자인 관련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
|
한글
|
2014중국(청두) 에너지절약 환경보호산업 박람회
|
|
중문
|
2014中国(成都)节能环保产业博览会
|
개최기간
|
2014.11.7.~8.
|
홈페이지
|
http://www.cdesep.com/
|
연혁
|
1989년부터 41번째 개최
|
규모(2014년 기준)
|
10,000s/m
|
참가업체수
|
300개
|
전시분야
|
도시 광산 재활용 기술 장비, 폐기물 자원 종합 이용기술 장비, 고효율 에너지 절약 전기 기계 설비 및 시스템 에너지 절약기술, 에너지 절약 제품 및 기타 에너지 친환경 제품
|
□ 전망 및 시사점
○ 중국 에코 디자인 관련 산업 전망
- 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산업은 현재 정책지원을 가장 많이 받는 업종으로 12·5 기간 투자종합 증가율은 30%로 예상되며(12·5 에너지 절약 및 친환경산업 발전 규획 중 발췌) 상승세는 13·5 기간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
- 2014년부터 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 산업, 특히 ''역사상 가장 엄격한 환경보호법''이 2015년 1월 1일부로 시행되므로 환경보호산업에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
- 중상정보망의 예측에 따르면 12·5 기간 내 중국이 환경보호산업에 투입하는 자금은 5조 위안을 돌파할 것
- 중국 정부는 향후에도 에너지 절약 및 친환경산업 발전을 꾸준히 추진할 것이므로 관련 산업이 유망산업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음.
- 환경에 대한 중국정부의 관심이 커지는 만큼 환경산업이 발전하며 그에 따라 에코디자인산업(친환경, 저탄소, 자원절약형)이 급속도로 커지는 추세
○ 중국 에코 디자인시장 진출전략
- 에너지 절약과 친환경은 최근 중국의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친환경 신기술을 보유한 국내외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이 유리할 것으로 사료됨.
- 친환경 소재와 다양하고 세련된 디자인 등 한국 기업의 강점을 충분히 활용해 중국시장에 진출한다면 빠르게 성장할 중국시장의 점유율을 더욱 높여갈 것으로 전망됨.
- 중국 각 지역의 차이와 특징을 충분히 고려해 사업을 전개할 필요성이 있음.
- 또한 중국 기업에서 에코 디자인에 대한 개념을 중요시 하게되면서 관련 제품에 대한 에코 디자인이 가능한 인력, 제품 소재, 연구개발분야의 인력도 상당한 수요가 있을 것임.
- 교류 및 합작 프로젝트를 통해 더 효율적인 인력 충원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바이두(百度), 中华人民共和国环境保护部, 国家环保总局, 中国环保网, KOTRA 광저우 무역관 정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