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자인진흥원
로그인
회원가입
뉴스레터
OpenAPI
사이트맵
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디자인디비 인기검색어
뉴스
트렌드
보고서•통계
아카이브
권리보호
디자인네트워크
고객센터
국내 디자인뉴스
해외 디자인뉴스
공모전
전시•행사
채용정보
국내 디자인리포트
해외 디자인리포트
디자인 트렌드
기술 트렌드
디자인연구
성공사례 보고서
디자인산업통계
생활산업통계
한국디자인의 역사
한국디자인 DNA
한국디자인 모티브
전통문양
간행물
세미나영상
행사영상
디자인관련영상
디자인 법률자문
디자인과 법
국내 디자인전문기업
해외 디자인전문기업
컬러소재 전문기업
진흥기관
교육기관
학회
협회•단체
공지사항
FAQ
1:1 문의
광고문의
사이트소개
사이트운영정책
트렌드
뉴스
트렌드
보고서•통계
아카이브
권리보호
디자인네트워크
고객센터
국내 디자인 리포트
해외 디자인 리포트
디자인 트렌드
기술 트렌드
HOME
>
트렌드
>
디자인 트렌드
디자인 트렌드
디자인DB가 추천하는 키워드
신소재
컬러
코로나
친환경
총 235건
현재페이지 23/24
검색
제목
내용
글쓴이
검색어
결과 내 재검색
전체보기
제품디자인
시각/정보디자인
공간/환경디자인
패션/텍스타일디자인
디자인일반
서비스/경험디자인
디지털미디어/콘텐츠디자인
산업공예디자인
융합디자인
기타
소셜트렌드
테크트렌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전망
페어
매거진
인터페이스
컬러/소재
조회수순
최신순
미니프로젝트-SALVAGE IN THE CITY(샐비지 인더 시티)
매거진
2009.05.15
strafer
기획 및 분석: 이순영 (트렌드 전문가) SALVAGE IN THE CITY 취재 및 사진/ 비주얼 맵핑: 류혜진 시티 프로젝트 city project -제2편- <미니프로젝트> Trend local mapping Samchung dong 기획의도 시티 프로젝트 일환으로 기획 진행된 미니 프로젝트는 삼청동, 가로수길, 청담동, 정자동 등 도심지 속 특정 거리문화가 리딩(leading)되는 곳만을 포커스 한다. 제3의 문화로 인정받는 스트리트를 중심으로 아웃도어 라이프를 분석하고 동시대적 어센티시티(authenticity)와 스타일 등을 정립하여 거...
미니프로젝트-not so intensive, not so primary
페어
2009.05.15
strafer
분석 및 가공 : 이순영 (트렌드 전문가) Material Lightness 머테리얼 컬러 예측 트렌드 <미니프로젝트> INTRO 2009년 최대의 관심사는 바로 LED 라이팅 컬러의 부각이다. 이는 기술과 감성이 어우러져 새로운 도심 환경을 구현하는 전세계적인 시티 프로젝트 일환으로도 급 부상되고 있다. 이처럼 아웃도어룩을 확장하는 각종 건설분야와 도심 프로젝트는 LED 라이팅을 접목한 화려한 스펙타클함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로우 머테리얼(raw material)에 대한 관심은 자원보존과 지구온...
미니프로젝트-KITFETISH STREET(키페티시 스트리트)
매거진
2009.05.15
strafer
기획 및 분석: 이순영 (트렌드 전문가), 김세은 (트렌드 리서처) Kitfetish street 취재 및 사진/ 비주얼 맵핑: 김세은 시티 프로젝트 city project -제1편- <미니프로젝트> 삼청동 Samchung dong 기획의도 시티 프로젝트 일환으로 기획 진행된 미니 프로젝트는 삼청동, 가로수길, 청담동, 정자동 등 도심지 속 특정 거리문화가 리딩(leading)되는 곳만을 포커스 한다. 제3의 문화로 인정받는 스트리트를 중심으로 아웃도어 라이프를 분석하고 동시대적 어센티시티(authenticity)와 스타일 등을 정...
스폿-머크 코리아 디자인 센터(MERCK KOREA DESIGN CENTER)
매거진
2009.05.15
strafer
취재 / 사진: 이순영, 이성재 Merck Korea Design Center -제1편 분석 및 가공 : 이순영 (트렌드 전문가), 이성재 (트렌드 리서처) <스폿 르포르타주> 도료 업체나 페인트 업체의 전문가가 아니면 도료와 안료의 차이점을 정확하게 인지하기 쉽지 않다. 안료는 도료 및 합성수지, 화장품, 유약 등의 원재료에 해당하는 유기용제에 녹지 않는 분말상의 착색제(着色劑)이다. 안료는 흰색 또는 유색이며, 솔벤트(solvent), 니스, 합성 수지액, 아라비아고무 등과 섞어서 착색하게 된다. 안료는 무기...
스폿-매지컬 LED(Magical LED) -제3편-
매거진
2009.05.15
strafer
분석 및 가공: 이성재 미래산업사회 예측 트렌드 -제2편- LED란 무엇인가? LED는 ‘light emitting diode’의 약자로서 한국어로 직역하게 되면 발광다이오드로 풀이할 수 있다. 짧고 작은 튜브형태로서 전류가 부가되면 빛이 나는 형태의 반도체이다. LED는 필라멘트(filament)로 빛을 발광하는 형태의 제품이 아니며,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전구보다 수명이 길다. 또한 전력 소모량이 일반 전구의 10%정도에 준하기 때문에 자원이 고갈 되어가는 현시대에 대체 광원으로 각광 받는다. LED는 현...
스폿-매지컬 LED(Magical LED)-제1편-
매거진
2009.05.15
strafer
분석 및 가공: 이성재 Magical LED 미래산업사회 예측 트렌드 -제1편- LED의 빛을 일상공간에 담다 Utopia 테마에서 소개되는 LED 라이팅에서 느껴지는 쿨 파스텔(cool pastel)은 기존의 크로매틱(chromatic) 컬러를 떠나 자연의 색감을 연출하는 뉴트럴 수퍼네이쳐(neutral super-nature)의 적용에서부터 시작된다. 또한 LED의 구현 기술이 점차 발전함에 따라 조명 산업 전반에 걸친 발전이 이루어진다. 기존 백열등이나 형광등을 대체하여, 다양한 조명 방식이 개발되고 다양한 제품에 적용된다. LED...
미니프로젝트-하얀 거탑(The Great White)
인터페이스
2009.05.15
strafer
기획 및 예측 트렌드 분석: 이순영 (트렌드 전문가) The Great White 머테리얼 컬러 예측 트렌드 <미니 프로젝트> INTRO 오늘날 건축을 중심으로 사진, 디자인 관련 많은 크리에이터(creator)들이 주목하는 것은 지구온난화 및 공해에 대한 자각과 그 해결점을 푸는 것으로 모든 creative idea가 집중된다. 북극과 남극은 우리 지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가 결정되고 이를 보존해야 하는 마지막 남은 청정지역 생태계로 주목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문화 이슈를 통한 통일된 목소리 아래 최근...
'조본 프라임' by 퓨즈프로젝트
인터페이스
2009.05.07
fire
'조본 프라임' by 퓨즈프로젝트 퓨즈프로젝트, '조본 프라임', 알리프, 2009 2009년 5월, 알리프(Aliph)의 블루투스 헤드셋 최신 모델 ‘조본 프라임(Jawbone PRIME)’이 출시되었다. 제품의 디자인은 이번에도 퓨즈프로젝트(Fuseproject)가 맡았다. 디자이너 이브 베하가 이끄는 퓨즈프로젝트는 2003년부터 ‘조본’ 시리즈의 디자인을 도맡아 왔고, 디자이너 이브 베하는 알리프의 부사장 겸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도 활동했을 만큼, 알리프와 퓨즈프로젝트는 남다른 파트너십을 유지해왔다. 이번...
*현장취재 리포트-라이프스타일을 위한 맞춤 식 예술작품 Interaction & Art
인터페이스
2009.04.06
coolpsho
-트렌드 리서치팀 현장취재 리포트-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맞춤식 예술작품 Interaction & Art 이미지출처 : 현장리서치 photo by 박석호 [소개글] Interaction & Art (인터렉션아트)는 20여명의 작가들로 이루어진 예술집단으로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부분에서 전문성을 가진다. 이들은 서로 다른 각자의 미술분야(서양화, 동양화, 조소, 공예…)에서 영감을 주기도 하고 공동작업을 통해 작품과 소비자의 만족을 향상시킨다. '서울리빙디자인페어2009'에 참가하였던 Interaction & Art (인터렉션아트)...
Public Design, 문화 공간으로서의 공중 화장실
인터페이스
2009.04.02
ny1211
공공 디자인 Public Design 문화 공간으로서의 공중 화장실 [소개글] 공중 화장실의 이노베이션은 2002년 월드컵 개최를 기점으로 공동 개최하는 일본 시설과의 비교 측면에서, 화장실 문화 수준을 높이자는 시민 운동이 펼쳐지며 활성화 되었다. 화장실은 관리 상태나 분위기 등으로 국가, 기업 등의 문화, 수준 등이 반영되므로, 공간을 대표하는 얼굴로써 하나의 홍보 마케팅 수단의 역할을 수행한다. 공공디자인의 혁신 과제를 통해 일본은 산업사회문화 각계각층의 관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
<<
<
16
17
18
19
20
21
22
23
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