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들이 가장 많이 본 디자인 뉴스
해외 리포트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카카오 아이콘 인쇄 아이콘

싱가포르와 핀란드 건축과 학생들의 지속 가능한 호커센터 디자인



싱가포르의 문화 아이콘 ‘호커센터Hawker Centre’의 재생을 위해 시행된 싱가포르국립기술디자인 대학교(SUTD: Singapore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Design)의 건축과 지속가능한 디자인학부(ASD: Architecture and Sustainable Design)와 핀란드 헬싱키의 알토대학교Aalto University의 건축과의 리서치 협업 / ©SUTD, ASD&Aalto University

 

 

싱가포르 사람들에게 호커 문화는 삶의 뿌리이고, 호커센터는 싱가포르의 다문화 사회를 보여주는 확실한 예이다. 1960년 후반부터 시작된 호커센터는 그 이전부터 있던 길거리 음식 상인들에게 더 위생적이고 고정된 환경을 제공하고, 1970년대에 시작된 주공아파트 건축단지와 연결하여, 동네 사람들에게는 만남의 장소와 사회 교류의 장으로 사용되었다. 싱가포르의 국무총리 리셴룽은 호커센터는 싱가포르 사람들의 정체성을 만든 ‘커뮤니티 다이닝 룸’이라고 말할 정도로, 호커센터는 다양한 인종의 음식들이 모여 독특한 싱가포르의 음식 문화로 융합되고 향유되는 공간이었지만, 시간이 흘러, 싱가포르가 고속성장을 이룬 경제 발전국이 되면서, 위기를 맞게 된다. 사람들이 동네에 있는 야외 푸드 코트보다는 거대 쇼핑몰 안의 시원하고 매력적인 식당을 더욱 찾고, 싱가포르 안에 직업 선택의 폭이 넓어지면서, 젊은이들이 호커센터에서 일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싱가포르에서는 호커센터를 어떻게 하면 싱가포르 사회에 주요한 구심점으로 남겨, 다른 차원으로 활성화시킬지가 주요 화두가 되고 있다.

 

 


싱가포르의 베독Bedok 지역의 호커센터 / ©ST PHOTO: KUA CHEE SIONG

 

 

싱가포르는 경제적인 발전뿐만 아니라, 주거공간과 도시 개발에서 지속적인 혁신을 이뤄오면서, 성공적인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싱가포르가 지속가능성을 이끄는 대표국일 수밖에 없는 이유는 자원이 제한된 섬에 자리 잡은 도시국가로, 경제적 생존을 위해서는 환경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는 UN해비타트의 발언은 호커센터 재생 프로젝트를 커뮤니티 강화에만 머물지 않고, 건축과 도시 환경의 입장에서도 고려를 해야만 하는 맥락을 제공한다. 이것이 싱가포르국립기술디자인 대학교(SUTD: Singapore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Design)의 건축과 지속 가능한 디자인학부(ASD: Architecture and Sustainable Design)와 핀란드 헬싱키의 알토대학교Aalto University의 건축과의 리서치 협업이 탄생된 배경이다. 프로젝트는 싱가포르의 신도시 풍골Punggol 지역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심포지엄과 두 차례의 전시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프로젝트의 배경이 된 싱가포르의 풍골 지역은 신축을 마친 주공아파트들이 들어서, 처음 청약을 받은 젊은 거주자들이 대거 살고, 새로운 지역 인프라가 갖춰지고 있지만, 역사가 오래된 다른 지역에 비교했을 때, 공동체 정신(깜퐁정신Kampong Spirit)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평가를 듣는다. 호커센터와 도서관, 지하철역 앞 열린 광장 등, 지역 사람들을 위한 열린 공간을 강화시켜, 지역공동체를 활성화시켜보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 ©Housing&Development Board, Singapore

 

 

두 학부는 함께 디자인 스튜디오를 꾸리고, 디지털 디자인을 기본으로 상호작용하며, 구조와 시스템에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을 접목한 실험을 이어나갔다. 우선, 호커센터를 싱가포르의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보았을 때, 요구되는 역할과 다양한 타이폴로지를 관찰하여, 앞으로 시스템, 도시, 조경 시스템을 망라하는 재생 프로젝트를 시작할 출발점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스튜디오 학생들은 호커센터와 도시를 아우르는 스케일과 그 사이를 오가는 사람과 물자, 자원의 흐름을 컴퓨터 상에서 모니터링하는 디지털 기법을 개발하고, 도시를 과정과 개체로 인식하고, 다양한 스케일의 네트워크를 생각하고 이해하며, 지역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고려했을 때 실효성이 있는 디자인인지 검토하는 방식의 복합적인 디자인 과정을 거쳤다. 최종적으로 도시와 조경 관리시스템을 연결하여 새로운 도시 타이폴로지를 이끌어낼 호커센터 디자인 안이 나왔다.

 

 


열린 형태Open Form, 작품: Solveig Døskeland와 Nora Sønstlien, 사람이 모이고 공간의 쓰임새가 다양하고 변모하는 서양의 열린 광장 같은 호커센터를 계획하며, 어떤 상태의 대지 위에도 유연하게 안착할 수 있는 지면 포장시스템을 제안한다. 길게 줄지어 지표를 감싸는 지면들은 열대기후 특유의 강렬한 햇볕과 바람에 맞춰 굴곡져있으며, 휴먼스케일에 맞춰 공간을 분할하는 역할을 한다. 부드럽게 굴곡진 지면은 공간 안에 새롭게 부여되는 다양한 기능들에 맞춰 공간 경험에 새로운 흐름을 부여한다. / ©SUTD, ASD&Aalto University

 

 


호커파크: 빠른 삶을 위한 느린 음식The Hawker Park: Slow Food for Fast Living, 작품: Samuel Ho와 Pheeraphat Ratchakitprakarn, 사람들의 삶의 속도가 더 빨라져, 싱가포르 사람들도 더 이상 호커센터에 찾아 이웃들과 음식을 즐기기 보다는 집이나 회사에서 배달음식을 즐기는 추세로 변하고 있다. 이 디자인 안은 호커센터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고, 도시민들의 삶의 속도를 줄이려고 하는 의도가 전면에 드러난 점이 다르다. 건물과 조경과 실내 안팎이 경계 없이 이어져있고, 출입구가 여러 개 있으며, 호커센터는 그 안에 숨어있다. 호커센터 안에서는 앉아서 식사를 하는 사람들과 음식을 테이크 아웃해가는 사람들을 구분해서 음식을 낼 수 있게 했으며, 테이크아웃을 위한 줄을 서 있는 벽면에 공원 풍광이 보이게 해서, 스트레스를 줄인다. 호커파크는 인접한 지하철역과 건물들과 연결되어, 사람들의 유입이 활발하고, 빛과 공기와, 푸른 자연이 어우러진 환경은 줄 서있는 사람들의 스트레스를 완화한다. / ©SUTD, ASD&Aalto University

 

 



풍골 수로The Punggol Channel, 작품: Chloe Liang과 Choo Ee Pin, 호커센터 주변에 커뮤니티 농장을 마련하여, 호커센터에서 소비되는 식자재의 일부분을 충당할 수 있도록 한다. 구조물은 호커센터와 주변의 학교와 공원을 연결하며, 그늘을 드리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집수장 두 곳에서 빗물을 모아, 스마트 네트워크와 물 흐름 관리 시스템으로 농장과 호커센터에 공급하고, 남은 물은 풍골 강으로 방류한다. 빗물이 매끄럽게 집수장에 모이고, 자연스럽게 흘러 농장 식물들에 공급될 수 있도록, 중력과 물의 흐름 계산한 수로가 놓인다. 지붕 위에는 빗물로 조성한 수영장이 있어, 지역 사람들이 여가를 즐길 수 있다. / ©SUTD, ASD&Aalto University

 

 


섞어짜기Interweave, 작품: Joonas Saarinen과 Tina Cerpnjak, 풍골 호커센터 주변의 특정 장소들을 오가는 사람들의 흐름과 새로운 수자원 개발계획에 따른 수로의 위치를 해석하여, 그 사이 공간마다 땅에 아늑하게 안긴듯한 공간을 조성하고, 율동감 있는 공간의 벽면과 굴곡을 이용하여, 스케이트장과 암벽등반 시설과 같은 각종 커뮤니티 프로그램 장소로 활용한다. 비가 매일 내리는 우기에는 넘치는 빗물을 이용하여 공간에 물을 채우고 물과 관련한 활동을 진행한다. 저녁에는 호커센터의 영역을 야외로 더 확장시켜, 지역 사람들이 자연과 어우러진 여유 있는 식사 시간을 갖도록 돕는다. / ©SUTD, ASD&Aalto University

 

 


 

 


 

 


 

 


이번 프로젝트에서 도시 시스템을 채우는 다양한 층위의 흐름 사이의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훑어보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싱가포르 풍골지역의 도시맥락적 특성이 보인는 지형 위에 시뮬레이션된 디자인 안을 물, 물자, 교통의 흐름과 사용자들의 동선에 따라 훑어보는 과정은 디자인 안의 적절성을 따져보는데 도움이 된다. 이미지 위에서부터 차례로: 프로젝트 ‘열린 형태’, ‘호커파크’, ‘풍골 수로’, ‘섞어짜기’의 3D 시뮬레이션 영상 갈무리 / ©SUTD, ASD&Aalto University

 

 

정상적으로 지어진다면, 지은 사람들보다 오래 남아있게 될 장소에 머물고 지나쳐가는 사람들의 삶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칠 무형의 활동들, 지구온난화와 함께 더욱 예측하기 어려워지는 기후, 코로나19와 같은 위협적인 변수들을 대입하여 공간을 디자인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더욱, 국가별로 글로벌화에도 변함없는 지역성을 갖춘 도시개발에 공을 들이는 이때에, 국적을 막론한 젊은 세대가 프로젝트에 동참하는 것이 탁월하다고 생각된다.

 

 

 

리포터_차민정

  

플로리다의 태양, 바다, 그리고 달리 - 이미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영리를 목적으로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를 블로그, 개인 홈페이지 등에 게재 시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외부필자에 의해 제공된 콘텐츠의 내용은 designdb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designdb logo
Tag
#도시재생
"싱가포르와 핀란드 건축과 학생들의 지속 가능한 호커센터 디자인"의 경우,
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발행기관이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목록 버튼 이전 버튼 다음 버튼
최초 3개의 게시물은 임시로 내용 조회가 가능하며, 이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임시조회 게시글 수: )